홈 > 실시간인기 > 실시간인기
실시간인기

일제강점기 한국 각 지역 주요 쌀품종들

불량우유 0 803 6 0

alternative_history-20250812-143135-000.jpg 일제강점기 한국 각 지역 주요 쌀품종들

 

우선 이하 설명할 건 전부 일본이 도입하고 개발한 품종들임. 재래종은 일제강점기 초에 약 1500종이 있었으나 외래 신품종에 밀려 거의 절멸, 해방 시기엔 얼마 남지 않음

본문의 다비농법이란 말 그대로 비료 퍼붓는 농법을 말함. 그리고 품종명은 걍 한국식 독음 그대로 놔뒀음


품종
1. 조신력(1907)
신품종 도입 초기에 우세 품종. 병충해에 강하고 수확이 많으며 배가 든든하고, 짚이 질겨 농민들이 좋아함

2. 곡량도(1908)
환경적응력이 뛰어나고, 양조용으로 적합함. 비료를 조금 주어도 잘 자라지만 반대로 다비농법에는 도열병 걸려서 잘 죽음

3. 다마금
곡량도와 함께 1920년대의 우세품종. 가뭄에 강하지만 역시 다비농법에 부적합해 1930년대부터 퇴출됨

4. 은방주
1930년대의 주력 품종. 1922년부터 전북 정읍에서부터 재배가 확산되었음. 품질이 뛰어나진 않지만 다비농법에 적합해 안정적인 영농에 좋음. 군산의 대표품종으로 특히 충남산이 가장 품질이 좋았음

5. 풍옥(1937)
전남도청에서 자체개발한 품종. 내한성이 뛰어나고 짚의 품질도 좋은데다 도열병에 강했음

6. 고천수(1910년대)
니가타가 원산지. 전북 북부에 보급. 다비농법에 부적합해 1930년대 퇴출

7. 도(1910년대)
야마구치가 원산지. 역시 위와 같은 이유로 1920년대에 퇴출

8. 일출
니가타가 원산지. 평안도-황해도 등 이북 지역에 보급됨. 수확은 많지 않으나 물이 차고 건조한 지역에서도 잘 자라 남부 산간지방에서도 많이 기름

9. 웅정(1909)
전남에 도입, 양조용으로 잘 팔림

10. 귀미(1914)
야마가타가 원산지. 평안도에서 재배. 밥맛이 뛰어나고 양조용으로도 적합하나 역시 다비농법에 부적합해 퇴출

11. 금(1908)
품질이 낮지만 늦심기를 해도 안정적인 수확 가능. 천수답에서 주로 재배

12. 육우132호 (1923)
조생종. 밥맛이 뛰어남. 함경도에서 첫 재배. 수확이 많고 가뭄과 냉해에 저항력이 뛰어남.

13. 적신력(1914)
동척에서 이식해 황해도에서 주로 재배. 내염성이 아주 뛰어나 간척지에 적합함

14. 복방주
역시 황해도에서 우세. 다비농법에 강하고 수확이 많고 미질이 우수함.



wpDlEAuzM42sSlQvMrGag2V3-bBc4g57kA7aGADMaG1Kp_MD8zNj9wzWpxgoe1rgmwYPAnxqugLPfl_CapZmQQ.webp.ren.jpg 일제강점기 한국 각 지역 주요 쌀품종들

 

지역별 분포. 1에서 5로 갈수록 벼가 늦게 익어도 되는 지역임

1. 극조생종지대
함경도 일원. 벼농사한계선이며 이 지역은 재래종이 우세함

2. 조생종지대
평안, 황해, 함남 남부, 강원 태백산맥 일대
재래종을 포함해 복방주, 육우132호, 귀미, 조생대야, 관산 우세

3. 중생종지대
한반도 중부지방. 황해남부, 경기, 강원, 충북, 충남북부
곡량도, 다마금, 중생은방주, 금 등 잘 알려진 품종 재배

4. 만생종지대
충남 남부, 전북, 전남북부, 경북, 경남북부
곡량도, 다마금, 조신력, 중생은방주, 은방주 등등
일본과 가장 유사한 농업지대로, 보리와 녹비작물을 벼와 이모작으로 재배 가능

5. 극만생종지대
남해안 일대
웅정, 변경, 중숙신력, 도 품종 재배지



img04_kameno.jpg 일제강점기 한국 각 지역 주요 쌀품종들
 


지역별 분포(1935)의 우세품종

1. 함경도, 평안도
육우 132호, 귀미

2. 황해도
적신력, 복방주

3. 경기도
곡량도, 은방주, 다마금

4. 강원도
이세진자, 육우

5. 충북

6. 남부 및 남해안
은방주, 곡량도, 다마금



alternative_history-20250812-142248-000.jpg 일제강점기 한국 각 지역 주요 쌀품종들
 
그 외 조선총독부 농사시험장에서는 1929년부터 풍옥, 서광, 영광, 일진 등의 신품종 쌀을 개발함.

하지만 이 품종들은 개발이 늦은 탓에 본격적으로 보급되지 못한 채 농사시험장의 창고에서 보관되던 중 한국이 해방을 맞았고

곧바로 우리나라가 싸그리 입수, 1970년대 통일벼 개발 전까지 잘 써먹음 ㅋㅋㅋㅋ






출처
홍금수, 일제시대 신품종 벼의 도입과 보급
그 외 등등

참고글: 메이지 시대 일본의 쌀수출과 신품종 개발

0 Comments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