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실시간인기 > 실시간인기
실시간인기

숫자로 보는 중력파의 발견

나경 9 3392 17 0


지구로부터 13억 광년 떨어진 어느 광활한 우주.



각각 태양 질량의 36배, 29배나 되는 거대한 블랙홀 두 개가 서로 회전하며 가까워지다...  충돌했다.



두 블랙홀은 결국 태양 질량의 62배가 되는 거대한 하나의 블랙홀이 되었고, 

 


이때 태양의 3배나 되는 질량이 우주로 소멸하게 된다.



물 위에 어떤 물체가 움직이면 파동이 일어나듯, 우주에서도 질량을 가진 물체가 움직이거나, 생기거나, 

 


사라질 때 파동이 생기는데, 이게 바로 그 중력파.



우주 전체로 퍼져나가며, 모든 곳에 적용되는 이 중력파는 '시공간의 왜곡'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블랙홀의 충돌이 있었던 곳으로부터 13억 광년 떨어진 지구에도 원래보다 

 


많이 약해진 중력파가 도달했다.



아인슈타인이 101년 전 주장하고, 과학자들이 얼마 전 입증했다는 그것. 

 


대체 어떻게 발견할 수 있었던 걸까?



중력파를 관측한 시설 라이고(LIGO) 

 


두 개가 서로 떨어져 있는 거리



 

이번에 중력파를 관측해낸 시설은 미국 워싱턴 주 핸포드와, 

 


그로부터 3000km 떨어진 루이지애나 주 리빙스턴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왜 이 시설이 두 개나 필요할까?

 


바로, 양측에서 관측한 데이터를 비교해, 가짜 신호를 구분해내고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라이고의 넓이



라이고는 길이 4km의 튜브 두 개가 직각으로 뻗어나가는 L자형 모양이다.



내부 공간의 넓이는 8500세제곱미터.

 


이는 지하철 32개를 이어 붙인 것과 비슷하다.



라이고 안의 기압은 지구의 1조 분의 1



이 거대한 공간의 내부는 1조 분의 1기압. 즉, 지구 위 표면에 비해 공기가 1조 배 적다는 의미. 

 


지구 위에 존재하는 가장 거대한 초진공 상태의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철저하게 진공상태를 만든 건, 중력파 이외에 진동(지진, 주변 소음 등)이 실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진공 튜브 안에 설치된 두 개의 거울이
떨어져 있는 거리



 

1조 분의 1 기압을 유지하는 4km의 진공관.
그 양 끝에는 거울 두 개가 마주 보게 설치되어 있다.



실험은 똑같은 길이의 진공관에 레이저를 쏘아, 거울에 튕겨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 

 


(평소에는 다시 돌아와 한 곳에서 만난 레이저가 상쇄되어 사라짐)



문제는 중력파가 지나갈 때, 시공간에 왜곡이 생기며 L자 두 팔의 길이가 살짝...

 

아주 사아알짝 늘어났다 줄어드는 현상이 일어난다는 것.



이때 변하는 거리는...



화학 원소로서의 특성을 잃지 않는 최소 입자인 '원자'. 

 

그 중심에 위치한 '원자핵'. 

 


중력파가 스칠 때 두 거울 사이가 변하는 거리는 윈자핵 지름의 ‘1000분의 1’ 정도라고



즉, 그 거대한 시설로 상상할 수 없을 만큼의 작은 변화를 캐치하여 

 


중력파가 실제로 존재했음을 밝혀낸 것



이번에 검출된 중력파의 최대 진폭은 
 

10의 21거듭제곱분의 1



이는 1광년(9조 5000억㎞)이라는 어마어마한 길이에 

 


머리카락 하나 굵기 정도의 변화가 생긴 것과 맞먹는다고 한다.



 

9 Comments
부채머리수리 2020.06.19 18:59  
첫짤 어그로 무엇?ㅋㅋ

럭키포인트 1,111 개이득

열한대치겠다 2020.06.19 19:24  
오차가 안생길수가 있나????

럭키포인트 1,259 개이득

해티 2020.06.19 19:34  
아인슈타인은 왜 알지도못하는걸 잘아냐ㅋㅋ 천재는 천재다

럭키포인트 2,391 개이득

쑤나리 2020.06.19 19:55  

럭키포인트 166 개이득

미오치치 2020.06.19 20:35  
4km 길이에서 온도 습도 지자기 진동 이런 변수가 많이 있을텐데.. 머리카락만큼 차이를 감지한게 정확한 실험 결과라고 할수있나?

럭키포인트 2,667 개이득

머슴왕 2020.06.19 21:28  
[@미오치치] 진공상태라 온도습도진동 전혀 노상관
지자기는 모르겠내

럭키포인트 4,533 개이득

호롤롤요로 2020.06.20 04:24  
[@미오치치] 굉장히 중요한 질문입니다.
아니 그렇게 미세한 걸 감지한다고 해서 했는데
이게 진짜 감지한거 맞아? 충분히 의문이 되고 실험설계에 필수적입니다.

사실 물리학잔 실험물리학자의 영역에 안에 따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이론물리학자의 발견과 가설을 잘 설계된 실험으로 증명하는 영역이죠.

쉽게 설명하면 애초에 실험설계시
신호를 여러가지 노이즈(지자기 온도 습도등)과 구분되게 설계합니다.
그리고 수많은 노이즈를 일부러 넣어서 구분되는가를 먼저 증명하고
본 실험이 시작됩니다.
(이외에도 굉장히 많은 절차가 있습니다)

다시 말해 가짜 신호도 넣어보고 진짜도 넣어보고 구분되는지
가상으로 실험도 해보고, 또 수없이 반복(재현성)을 신뢰도 수준에 맞춰서 실험해보고
이 모든게 포함되야 저 실험은 인정받습니다.

저 실험결과가 발표돠면 저걸 검증하는 수십수백개의 연구가 또 파생됩니다,

유명한 이야기로 CERN의 LHC에서도 새로운 입자를  발견했다고 하고도
나중에 검증을 거쳐 다시 검출 시의 통계적 오류로 밝혀졌었습니다,

럭키포인트 1,971 개이득

댓글유도빌런 2020.06.19 21:38  
아인슈타인은 저걸 어케 알았데?

럭키포인트 1,591 개이득

콘샐 2020.06.20 01:57  
와..이과글인데 이해잘되게 써놨네

럭키포인트 2,401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