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실시간인기 > 실시간인기
실시간인기
12 Comments
젠틀맨 2021.01.14 19:43  
할말없겠다 ㅋㅋㅋ

럭키포인트 7,045 개이득

govlepdl 2021.01.14 19:55  
과거시험치고 가는건데...
대물림이 되나?

럭키포인트 21,662 개이득

고광렬이 2021.01.14 20:17  
[@govlepdl] 말이 과거시험이지 양반가 아니면 공부여건이 안되니까 그나물에 그밥이였겠지

럭키포인트 15,042 개이득

도우너 2021.01.14 23:51  
[@고광렬이] 이 말이 맞음 초기에는 평민들도 급제하긴했는데
나중에는 부모 등골 브레이커는 기본에 비리도 심해져서 어지간한 집안 아니고선 엄두도 못내게 됨..

럭키포인트 9,551 개이득

ㅊㅊㅁㄷㅎ 2021.01.14 22:24  
[@govlepdl] 명문가 자제면 공부 개빡세게 시킬텐데 어지간하면 자식들도 벼슬하겟지

럭키포인트 26,071 개이득

ZICO 2021.01.15 00:03  
[@govlepdl] 지금은 뭐 안그런가

의사 집안에 의사나고

판사 집안에 판사 남

럭키포인트 19,225 개이득

친목밴 2021.01.15 00:42  
[@govlepdl] 지금도 의사 아들이 의사하자나

럭키포인트 5,634 개이득

nickas 2021.01.14 21:49  
경은 서양호칭 아닌가?

럭키포인트 27,987 개이득

태연양 2021.01.14 21:54  
[@nickas] 보통 임금이 당상관 이상(특히 대감) 관료를 칭할때 경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음

그래서 귀족들을 부를때 경이라고 번역을 한듯.

럭키포인트 26,665 개이득

nickas 2021.01.14 21:59  
[@태연양] 아하 감사
자화상 2021.01.15 02:48  
[@nickas] 근대 이후 서양의 개념들을 주로 일본이 번역했는데, 이 과정에서 기존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쓰던걸 빌려오는 경우가 많았음

그래서 과거의 단어가 현대의 단어와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함

사회는 본디 종교의례의 뜻, 자유는 본디 스스로 그러하다 라는 뜻에서 현재로 변화했는데
기존 동아시아 문화권에선 없던 개념을 빌리다보니 새롭게 창조한 것임
economy도 기존에 비슷한 뜻이 없어 경세재민의 말을 줄인말임

경 같은 것도 비슷한 용어를 대응해서 쓴거고, Lord → 전하 이런 것도 완벽하진 않아도 비슷한 걸로 옮겨 적은 것임
군주론으로 유명한 prince는 작위제도가 달라서 오역되는 경우가 많음
왕자로 번역하기 쉽지만, 대공이나 공으로 번역될 수도 있음

duke 이런 것도 주나라 부터 있었던 공후백자남의 오등작에 대응해서 번역함

우리나라 실록을 확인 안해서 실제로 경으로 많이 불렀는지는 모르겠는데
왕이 자신을 일컫을 때는 과인이라고 하는 경우는 실제로는 적다고 하더라(나는 이라고 1인칭 했다는데 한문으로는 고, 여)

조선시대에는 조선 초랑 대한제국 때만 공후백자남 썼고
대부분은 이항복의 오성부원군 같은 봉군제를 썼음

근데 판서 같은 직책도 있고 ~대부 같은 품계도 있는데
뒤에는 대감, 영감으로 했어도 뒤에는 뭘로 불렀을지 궁금하네
자나 호를 붙였을거 같지는 않고

럭키포인트 6,701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