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실시간인기 > 실시간인기
실시간인기

지방 거점 국립대 엑소더스..멸망 시작..

파오리퍄퍄 13 5023 19 0


 

https://news.v.daum.net/v/20211018090637525

 

18일 각 대학과 국회 교육위원회 등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부산대의 2021학년도 모집 인원은 4567명이며, 합격증을 받았으나 입학하지 않은 인원은 3825명(83.7%)이다. 합격생 10명 중 8명 이상이 다른 학교 진학 등을 위해 부산대 입학을 포기한 셈이다.

 

경북대의 분위기도 좋지 않다. 경북대의 2021학년도 모집 인원은 5018명이다. 합격 통보를 받았으나 입학하지 않기로 한 인원은 4362명(86.9%)으로 나타났다.

 

두 대학 외에 전국에 자리 잡은 지방 거점 국립대 중 상당수도 ‘엑소더스’ 현상을 겪고 있다.

 

 

 

지방대 투탑인데 이정도라고? 그럼 나머지는 ㄷㄷㄷ

 

Best Comment

BEST 1 개빡통  
입시컨설팅 합니다.
저 기사의 의도는 명확히 알 수 없으나, 지방 소멸이 그만큼 심각하다는 느낌을 주기 위해 아주 자극적인 이슈를 꺼낸 듯 합니다.
지금 입시에서 입시결과를 보면 부산대는 동국대나 홍익대와 비슷한 라인을 유지하고 있고 경북대는 국민대나 숭실대와 비슷한 결과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학과마다 편차가 있으니 명확한건 아니나, 대략적인 수치입니다.
현재 입시에서는 수시지원에서 학생들이 6개 카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6개를 다 합격하고 그 중 한곳만 가는 학생도 있고 6개 중 1곳만 합격하는 학생도 있겠죠.
보통 인서울권으로 올라가고 싶기 때문에 부산대와 경북대를 지원할만한 성적을 가진 학생들은 유독 더 인서울권을 많이 쓰게 됩니다.

2021학년도 모집 인원은 4567명이며, 합격증을 받았으나 입학하지 않은 인원은 3825명(83.7%)이다. 합격생 10명 중 8명 이상이 다른 학교 진학 등을 위해 부산대 입학을 포기한 셈이다. 라고 나와 있는데
반대로 말하면, 합격하고 그냥 다른 학교를 선택한 인원이 좀 높다라는거지 결국 입학 정원은 채웠다는 것입니다.
학생들이 오지 않은게 아니고, 포지션이 애매하니까 처음에 합격한 학생들이 카드를 다음 학생에게 넘긴 비중이 높다는 걸 의미합니다.
국립대가 문제가 아니고 지방 사립대가 먼저 문제입니다... 왜 저렇게 기사를 자극적으로 낸건질 모르겠네요.
13 Comments
개그지팝소 2021.10.18 22:25  
고령화사회 부작용 시작된건가!!

럭키포인트 23,308 개이득

대통령 2021.10.18 22:25  
분캠 제외하고 본캠만 해서 저 정도임? 아니면 분캠까지 포함임?

럭키포인트 23,648 개이득

모나미 2021.10.18 22:26  
ㅋㅋㅋㅋㅋ 늦게 태어날수록 이득이라니까
공부 개 ㅈ도 안해도 이제 국립대 정도는 그냥 패스하는거지 뭐 ㅋㅋ

럭키포인트 15,217 개이득

알아곤 2021.10.18 22:32  
[@모나미] ㅅㅂㅋㅋㅋㅋㅋㅋ억울해 와근데 진짜 빠르게 진행되네

럭키포인트 331 개이득

바른말 2021.10.18 22:33  
[@모나미] 근데 그럼 기업에서도 지방국립대는 쳐다도 안보는거 아님?
아무리 인재가 부족해도 아무나 데려가진 않을거아냐
그만큼  그 대학 이미지도 낮아질텐데

럭키포인트 15,920 개이득

모나미 2021.10.18 22:45  
[@바른말] 그때 가봐야 알겠지만 과외하거나 학원 선생님 하는 사람들 말 들어보면 인서울들도 예전 인서울 실력들이 아니라는 평이 많던데 애초에 다들 하향평준화 되고있음

그리고 우리 좌파 선생님들께서 노력안하고 열심히 한 애들이랑 동등한 혜택을 누리자를 꾸준히~ 하고 계시기 때문에 큰 타격없을거라고 내 뇌피셜로는 생각함

두번째 수도권 인구 집중 해소 하기 위해서라도 지방국립대는 반드시 혜택 줄거임

어차피 다들 하향평준화 + 지방대 뽑게 만드는 환경 더하면 어차피 기업도 울며겨자먹기로 뽑게 될거라고 생각함

순전 내 추측이지만 내 생각대로 될거같음
오메가3 2021.10.18 22:32  
요즘 분위기면 인서울할 수 있으면 해야지 수도권 몰빵이라 지방에는 희망이 없다

럭키포인트 8,940 개이득

한비야 2021.10.18 23:05  
부산대가??? ㄷㄷㄷ

럭키포인트 5,838 개이득

개빡통 2021.10.18 23:09  
입시컨설팅 합니다.
저 기사의 의도는 명확히 알 수 없으나, 지방 소멸이 그만큼 심각하다는 느낌을 주기 위해 아주 자극적인 이슈를 꺼낸 듯 합니다.
지금 입시에서 입시결과를 보면 부산대는 동국대나 홍익대와 비슷한 라인을 유지하고 있고 경북대는 국민대나 숭실대와 비슷한 결과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학과마다 편차가 있으니 명확한건 아니나, 대략적인 수치입니다.
현재 입시에서는 수시지원에서 학생들이 6개 카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6개를 다 합격하고 그 중 한곳만 가는 학생도 있고 6개 중 1곳만 합격하는 학생도 있겠죠.
보통 인서울권으로 올라가고 싶기 때문에 부산대와 경북대를 지원할만한 성적을 가진 학생들은 유독 더 인서울권을 많이 쓰게 됩니다.

2021학년도 모집 인원은 4567명이며, 합격증을 받았으나 입학하지 않은 인원은 3825명(83.7%)이다. 합격생 10명 중 8명 이상이 다른 학교 진학 등을 위해 부산대 입학을 포기한 셈이다. 라고 나와 있는데
반대로 말하면, 합격하고 그냥 다른 학교를 선택한 인원이 좀 높다라는거지 결국 입학 정원은 채웠다는 것입니다.
학생들이 오지 않은게 아니고, 포지션이 애매하니까 처음에 합격한 학생들이 카드를 다음 학생에게 넘긴 비중이 높다는 걸 의미합니다.
국립대가 문제가 아니고 지방 사립대가 먼저 문제입니다... 왜 저렇게 기사를 자극적으로 낸건질 모르겠네요.

럭키포인트 25,402 개이득

REVELUV 2021.10.19 01:17  
[@개빡통] 지방 사립대는 아래서부터 채워지고 지거국은 위에서 부터 채워지니 문제가 더 부각되는게 아닐까요... 지거국은 그래도 옛날부터 그 지역에서 인정받을 정도의 인재가 양성되던 포지션인데 지금은 대부분 최초합이 아닌 추합 수준으로 점점 낮아지고 자연스럽게 입결도 낮아지면 지방인재의 수준도 전보다 부족하다 생각하겠죠. 사실 무례한 이야기지만 그 외에 지방 사립대에 대해서는 지거국만큼의 인정이나 기대, 지역 자부심과는 조금 거리가 있다보니 상권정도의 문제로 밖에 안보이는거같구요.

럭키포인트 17,460 개이득

갓김치 2021.10.19 09:19  
[@개빡통] 좋은 정보 감사. ^^

럭키포인트 16,030 개이득

가을방학 2021.10.19 14:52  
[@개빡통] 와 경북대가 국숭까지 내려감...? 심각하긴하네...

럭키포인트 28,872 개이득

이스코 2021.10.19 00:29  
부산대는 밀양캠이 있지만 그렇게 큰 격차가 나는것은 아니긴하고 스펙트럼이 넓게 포진되는 국립대 종특이 있고 경북대는 부산대보다 더하게 상주대가 통합되어서 상주캠이 있기때문에 부산대보다도 더 다르게 봐야하긴 합니다

럭키포인트 1,603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