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실시간인기 > 실시간인기
실시간인기

Best Comment

BEST 1 히하  
[@ㅣㅣ] 그래서 다행아님?
이토가 살아있고 온건하게 식민지화 되면 재수없었으면 그대로 쪽바리에 흡수당해서
같은 전범 취급 당했을지도 모르는데
강경파가 지랄하면서 병합되었으니 거부감이 들면서 반발한거 같은데
BEST 2 Jebediah  
[@ㅣㅣ] 결국 집어삼키자는건 똑같았음
일제가 패망하지 않았고 이토 히로부미가 원하는대로 진행됐다면 한국은 더 철저하게 충실한 일제의 신민이 됐을지도 모름
16 Comments
김치 2021.11.24 21:13  
머저리라는걸 스스로 카는거지

럭키포인트 5,033 개이득

ㅣㅣ 2021.11.24 21:20  
근데 이토 히로부미가 온건성향이라 급격한 병합을 반대한건 사실임. 그래서 한복도 입고 다녔다고 함.
이토 히로부미가 초대 통감으로서 대한제국의 식민지화를 주도한건 맞는데 식민국의 협상+지지를 우선적으로 하는 방식으로 강경한 식민지화는 반대했었다가 말년에 일본이 폭주하면서 강경파의 병합론을 인정하고 죽음.
죽고나서 강경파가 통감직을 승계하고 병합됨.

럭키포인트 18,826 개이득

Jebediah 2021.11.24 21:25  
[@ㅣㅣ] 결국 집어삼키자는건 똑같았음
일제가 패망하지 않았고 이토 히로부미가 원하는대로 진행됐다면 한국은 더 철저하게 충실한 일제의 신민이 됐을지도 모름

럭키포인트 12,491 개이득

히하 2021.11.24 21:25  
[@ㅣㅣ] 그래서 다행아님?
이토가 살아있고 온건하게 식민지화 되면 재수없었으면 그대로 쪽바리에 흡수당해서
같은 전범 취급 당했을지도 모르는데
강경파가 지랄하면서 병합되었으니 거부감이 들면서 반발한거 같은데

럭키포인트 29,278 개이득

ㅣㅣ 2021.11.24 21:32  
[@히하] 근데 온건 식민지화로 독립이 힘들다는건 대만의 예가 있어서 흡수되지는 않았을 것 같음
다만 일본이 그때 폭주하면서 외교 ㅈ되고 미국에 선빵쳐서 패망한건데 만약 이토 히로부미가 있었다면 진주만 폭격은 하지 않았을거고 결국 패망안해서 지금도 일본제국이 존재할 것 같아 소름돋음
위도우매우커 2021.11.24 21:29  
[@ㅣㅣ] 천천히 먹히나 빨리먹히나 그게 그거 아닌가 이미 을사늑약때 우리나라는 끝난거 아닌가

그리고 착한 식민지 나쁜 식민지가 어디있나 똑같은 식민지인데 ㅋㅋ

럭키포인트 29,507 개이득

ㅣㅣ 2021.11.24 21:43  
[@위도우매우커] 이미 을사조약때 먹힌건 맞고 식민지 자체가 먹을 목적이니깐 착한건 없지. 난 착하고 나쁘고 그걸 주장한게 아닌데..
우리도 학교에서 배웠잖아 일제강점기 통치방식의 3단계.
온건적인 통치냐 강압적인 통치냐의 따른 식민지 시민의 고통을 생각하면 통치방식에 따른 구별은 해야된다고 봄.
서덩 2021.11.24 21:48  
[@ㅣㅣ] 그런평가는 외부에서 해주는거고, 당한입장에서는 그러한 시선은 내부분열밖에 안됨. 현시점에서도 제대로된 사과도 없는데 학문적이든 실용적이든, 우리가 그러한 구별을 해줄 필요는 없음.

럭키포인트 6,869 개이득

ㅣㅣ 2021.11.24 22:00  
[@서덩] 글쎄 일본에 통치도 안당해본 어느 남아메리카 제 3국에서 일본의 식민지 방식에 관한 평가를 해준다면 우리 중 누가 동의함. 우리가 피해자인데.
그리고 내부분열이라는 이유로 얘기도 못하게 한다는건 주관적인 평가를 내리게만 하는 방식이라고 봄
그럼 학교에서 배웠던 일제강점기 통치방식의 3단계에 대한 내용을 배워선 안된다는 말이네
서덩 2021.11.24 22:14  
[@ㅣㅣ] 통치방식의 차이를 배워서 나은 점은 뭘까?
우리도 다른나라의 식민지화에 써먹자?
우린 친일파도 청산 안됐고, 지금도 일본의 제대로된 사과도 못받았음.
학문으로 접근하려면 좀 더 나중에 해도 됨.
아직은 그들에게 우리도 강경하게 하나의 톤으로 얘기해야됨.
위와 같은 방식이라면 일본이 주장하는 일제강점기를 통해 근대화를 이루었다도 힘을 받는거임.
의견을 통일할때도 있고, 세부적으로 논의할때도 있지만, 우리는 '그들이 우리를 식민지로 만들었다' 이거 하나로 끝내고 사과를 받고 세부적으로 논의해도 늦지않음.
ㅣㅣ 2021.11.24 22:33  
[@서덩] 일제강점기에 대한 객관적이고 학문적인 판단을 한다고 우리가 다른나라를 식민지화를 한다는 판단은 어디에서 나오는거죠?
독립한지 곧 80년인데 지금도 학문적으로 접근하지도 말라면 대체 언제 접근해야하죠?
그리고 학문적 접근이 일본의 사과와 무슨 상관인가요 ㄷㄷ
님이 원하는 방식과는 다르게 학교에서 의무교육을 받은 대한민국 국민들이라면 일제강점기에 관한 학문적인 접근의 결과물을 이미 공부 했습니다.
학문적인 접근을 무시하고 사실과 다르게 강경하게 하나의 톤으로 나가야 한다는 극단적인 주장은 교육계에서 알아서 거부할듯 합니다.
중국이라면 이미 하고 있겠네요.
그리고 전세계 국가들 모두 그런식으로 학문적 교육을 내팽겨치고 주관적인 주장만 한다면 교육이란 학문 자체가 없어지겠죠.
이건 참고로 일본 역사교과서입니다.
https://gezip.net/bbs/board.php?bo_table=horror&wr_id=147592&sfl=wr_subject&stx=%EC%9D%BC%EB%B3%B8&sop=and&page=2
반박시 님 말이 다 맞습니다. 그럼 전 이만..
서덩 2021.11.24 23:14  
[@ㅣㅣ] 본인혼자 그렇게 하고 가면 자신이 말한 말은 힘을 받기 어려움.
시간이 지났다고 해서 끝맺음이 난 일이라고 생각하면 안됨.
내부분열을 바라는 사람은 우리나라 특성상 엄청많음
본인도 그러한 사람임?
 교육계에도 분열을 원하는 사람많음. 사안의 중요함과 예외라는게 있음.
그렇게 역사공부를 하고 싶으면 아직 공부할거 많음.
기본적으로 상대가 저열하게 나오는 분야에서 상대가 좋아할만하게 연구해주고 할 필요없음.
 다시 말하지만 아직 끝난 역사가 아님. 예외적용해야됨
밥먹었어수산시장 2021.11.26 04:57  
[@ㅣㅣ] 학문적으로 그럴싸한 말들로 정리한들 온건이고 자시고 일본은 전범국가이고 강제통치국가임.칼을 피해자에게 1번 찌르나 10번 찌르나 천천히 찌르나 어차피 피의자는 피해자를 살해 하기 위한 동기는 똑같음. 이걸 학문적으로 풀어 나가는거 자체가 넌센스고 그냥 옆나라 일본은 아직도 사과를 하지 않은 전범국가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님.

럭키포인트 13,693 개이득

헬린2 2021.11.25 09:51  
[@ㅣㅣ] 뭔 뻘소리야 ㅅㅂ
온건통치하면 식민지 된 사람들의 고통이 적고 강압통치하면 고통이 크냐?ㅋㅋㅋㅋㅋ
무슨 유치원생들이 생각하는거도 아니고
말로 이거저거 시키면 따라하기 좋고 안한다고 채찍들고 때리면 고통이 심하다 이거임?ㅋㅋㅋㅋㅋㅋㅋ
ㅅㅂ구분을 해도 저새키들 나름대로 실시한 정책에 의해서 구분을 해야지
뭔 개똥같은 식민지 시민의 고통을 생각해서 구분이야 ㅅㅂㅋㅋㅋㅋㅋㅋㅋㅋ
최근에 들은 소리중에 제일 개떡같은 논리구조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럭키포인트 27,395 개이득

ㅣㅣ 2021.11.26 11:56  
[@헬린2] 저들이 실시한 정책에 의한 구분을 하자는게 내 주장이고 그게 현재 한국 정부도 그렇게 하는 중인데 반해 저 사람이 주장하는건 무조건 우리가 피해자니 저들이 실시한 정책에 관한 학문적인 판단도 싸그리 ㅈ대로 무시하자는 상황에서 지가 논점 못잡고 욕짓거리하네
학교에서 배운거 기억 못함??
1단계 무단통치기(탄압)에서 2단계 문화통치기(유화)로 넘어가면서 온건적인 정책으로 바꿔 식민지 시민들이 받던 고통은 그나마 줄어들었으나 친일파가 가장 많이 양성된 시기라고 배운거 걍 싸그리 잊음?
지금 저 사람은 일제강점기에 관한 학문적인 방식에서 일본의 통치방식을 아예 대놓고 연구하지도 말자는 말도 안되는 주장이고 나는 지금 한국 교육계와 역사학계가 객관적인 역사를 보고 가르치고 있는 현 상황이 당연하다는 주장을 하고 있음.
학문적인 목적으로 보는걸 설마 내가 일본이 한 제국주의를 옹호한다고 생각해서 욕하는건가? 아니면 일제강점기 때문에 나라도 없는 식민지로서 그냥 다 고통스러운데 감히 구분을 하다니 넌 ㅂㅅ 이런거임?
만약 그런 관점이라면 나한테 욕할게 아니라 교육청이나 역사학계에 가서 욕하셈..
요이악숀 2021.11.24 23:01  
아시아를 위해?ㅋㅋ 탈아입구 외치던색기들잌ㅋㅋ선택적 기억상실증인가

럭키포인트 27,282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