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실시간인기 > 실시간인기
실시간인기

Best Comment

BEST 1 고광렬이  
국민정서 문제도 있겠지만 제도적인 문제가 제일 크다고 봄.
원글에 나와있듯 1년 4일밖에 집을 못가는 외상파트를 하는 의사들이 받는 대우가 의사 중에 가장 아래에 있음.
일은 죽어라 하는데 대우는 못받음.
심평원이라 불리우는 의료수가 징수하는 곳에서는 매년 중환자실 환자들 과잉투약했다고 삭감 때림.
그럼 병원에서는 중환자 받을 수록 적자가 나는 구조라서 증축을 하려고 하지도 않고
의사를 고용하려고 하지도 않음.

이런 상황에서 적자는 계속 나는데 정부에서는 지원금으로 고작 년 몇십억 주겠다 이게 끝임.
구조 자체가 모순적인데 절대로 중환자 받을수록 병원이 적자 나는 그 기형적인 구조를 고치려고 하지 않음.
병원이 증축을 할 수있도록 하고 많은 의사들이 하고싶도록 하는게 그렇게 어려운 일일까

매년 여성가족부에 조단위의 세금이 들어가는데 이 돈으로 얼마나 많은 생명을 구하고 살릴 수 있을까
정치인들은 반성해야된다.
알면서도 모른척하는 것도 잘못이요. 모르는것도 잘못이다.
정치인은 반성하라.
BEST 2 드롭박스  
[@도토리키재기] 막 그렇게 부끄러워하실 필요까진 없음.

엄밀히 말해서 대한민국은 생긴지 이제 75년 남짓한 신생국가임.
거기다 산업화를 거친지는 이제 50년남짓되고,
국가 재정적으로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긴지는 넉넉하게 보면 40년, 짧게 잡으면 20년정도밖에 안됨.

그러니 당연히 이런 사회전반에 대한 시스템이 미비하거나 부족하거나 어설픈 구석이 많음.
왜냐면 우리는 이런 상황이나 현상들을 처음겪고, 이 일이있기전에 이것에대해서 사회적으로 진지하게 고민할 여유나 시간이 없었으니깐요.

그에 반해 우리가 롤모델로 삼아왔던 미국이나 일본, 유럽국가들은 짧게는 200년 길게는 수백년에 걸쳐
이 시스템을 만들어온거니깐요.

그리고 지금 이렇게 시스템이 미비한 분야에서 입지적인 인물이 문제를 제기하는건
나라가 발전하는 과정에있어서 당연한 수순이고, 이러한 과정을 거쳐 시스템이 완성되어가는거니깐여.

그리고 거기에 님과같은 감정(부끄러움,분노,공감 등등)을 느낀 사람들이 의견이 같은 특정인물을 지지하거나
정치,시위,캠페인 등을 통해 직접 나서서 행동하면서 바꿔나가는거죠.

님 같은 사람이 있는한 아직 머한민국은 잘굴러가고있다는 증거임.
BEST 3 도토리키재기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었는데 참 대한민국이 부끄럽네요
15 Comments
고광렬이 2021.12.07 17:24  
국민정서 문제도 있겠지만 제도적인 문제가 제일 크다고 봄.
원글에 나와있듯 1년 4일밖에 집을 못가는 외상파트를 하는 의사들이 받는 대우가 의사 중에 가장 아래에 있음.
일은 죽어라 하는데 대우는 못받음.
심평원이라 불리우는 의료수가 징수하는 곳에서는 매년 중환자실 환자들 과잉투약했다고 삭감 때림.
그럼 병원에서는 중환자 받을 수록 적자가 나는 구조라서 증축을 하려고 하지도 않고
의사를 고용하려고 하지도 않음.

이런 상황에서 적자는 계속 나는데 정부에서는 지원금으로 고작 년 몇십억 주겠다 이게 끝임.
구조 자체가 모순적인데 절대로 중환자 받을수록 병원이 적자 나는 그 기형적인 구조를 고치려고 하지 않음.
병원이 증축을 할 수있도록 하고 많은 의사들이 하고싶도록 하는게 그렇게 어려운 일일까

매년 여성가족부에 조단위의 세금이 들어가는데 이 돈으로 얼마나 많은 생명을 구하고 살릴 수 있을까
정치인들은 반성해야된다.
알면서도 모른척하는 것도 잘못이요. 모르는것도 잘못이다.
정치인은 반성하라.

럭키포인트 2,921 개이득

어그로입니다 2021.12.07 18:44  
[@고광렬이] 중환자 과잉 투약, 처치로 삭감되는 거면
허가기준 초과한 분량은 전액본인부담이나 고시에 맞게 비급여 처방하면 병원에 손실은 없는 거 아닌가요?

환자한테 본인부담 진료비가 많이 나와서 안그러는건가요?

럭키포인트 17,867 개이득

폭망돌이 2021.12.08 21:31  
[@어그로입니다] 그럼 감사 나옴. 비급여가 많으면 심평원에서 저새퀴들 사기치는거 아닌지 감사나감. 실제로 그렇게 사기치는 넘들이 있어서 말이죠...

럭키포인트 15,767 개이득

폭망돌이 2021.12.08 21:32  
[@어그로입니다] 모든건 평균에 수렴해야 감사가 안나간다고 보면 됨. 물론 실제로도 평균에 벗어나는 넘들은 대개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많기도 하니까.
어그로입니다 2021.12.08 21:37  
[@폭망돌이] 제가 건강보험 심사관리사인데요...

고시 허가 기준 초과한 전액본인부담 처방과 비급여처방은 의무기록상 필요성 인정되는 수준이면 애초에 감사에서 큰 타격 없습니다

즉 사기 쳐서 과잉 처방 적용한거 아니면 요양기관 입장에서의 지급 거부로 손해볼 일도 안생기고 의무기록 상 필요에 의한 적용을 간호일지, 진료기록, 투약 기록 등에 기입했다면 전혀 문제 생길거 없고 입증도 감사팀이 간단하게 확인가능합니다

럭키포인트 23,141 개이득

도토리키재기 2021.12.07 17:26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었는데 참 대한민국이 부끄럽네요

럭키포인트 19,455 개이득

드롭박스 2021.12.07 17:43  
[@도토리키재기] 막 그렇게 부끄러워하실 필요까진 없음.

엄밀히 말해서 대한민국은 생긴지 이제 75년 남짓한 신생국가임.
거기다 산업화를 거친지는 이제 50년남짓되고,
국가 재정적으로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긴지는 넉넉하게 보면 40년, 짧게 잡으면 20년정도밖에 안됨.

그러니 당연히 이런 사회전반에 대한 시스템이 미비하거나 부족하거나 어설픈 구석이 많음.
왜냐면 우리는 이런 상황이나 현상들을 처음겪고, 이 일이있기전에 이것에대해서 사회적으로 진지하게 고민할 여유나 시간이 없었으니깐요.

그에 반해 우리가 롤모델로 삼아왔던 미국이나 일본, 유럽국가들은 짧게는 200년 길게는 수백년에 걸쳐
이 시스템을 만들어온거니깐요.

그리고 지금 이렇게 시스템이 미비한 분야에서 입지적인 인물이 문제를 제기하는건
나라가 발전하는 과정에있어서 당연한 수순이고, 이러한 과정을 거쳐 시스템이 완성되어가는거니깐여.

그리고 거기에 님과같은 감정(부끄러움,분노,공감 등등)을 느낀 사람들이 의견이 같은 특정인물을 지지하거나
정치,시위,캠페인 등을 통해 직접 나서서 행동하면서 바꿔나가는거죠.

님 같은 사람이 있는한 아직 머한민국은 잘굴러가고있다는 증거임.

럭키포인트 28,492 개이득

파오리퍄퍄 2021.12.07 17:36  
이국종교수 골든아워 책 읽어보면 안타까움

럭키포인트 23,224 개이득

첨지 2021.12.07 17:43  
운영할수록 적자나게 되어있어서 그럼 병원측은 중증외상환자 한명당 몇백씩 적자나니깐 규모축소하지 윗분말대로 수가개선이되야함

럭키포인트 6,353 개이득

소리없는총성 2021.12.07 17:53  
돈있는분들이 오히려 저런곳에 외상센터 운영금기부해주면 사람살리는데 한몫한거라 보람되지않을까

럭키포인트 23,721 개이득

친목밴 2021.12.07 17:54  
다른건 내가 잘 모르니까 뭐라 말 못지만

헬기 및 구급차 소음 민원 따윌 받아주는건 ㅄ같음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살리기 위한 행위에서 발생한 사고도 아니고 소음으로 민원? 진짜 미친것 같음

럭키포인트 23,261 개이득

시즈 2021.12.07 21:14  
[@친목밴] 얼마나 ㅄ이 많으면 119 출동했는데 자동차 안비키고 그거때매 밀어도 되는법 만들겠음 심지어 그거 훈련도했음

럭키포인트 18,155 개이득

김변 2021.12.08 01:29  
학교와서 잠깐 강연하셔서 들었는데.....
진짜 대단하신 분이셨음
싸인 한 장 받아놓을걸 쩝

럭키포인트 15,803 개이득

수달이 2021.12.08 01:41  
이국종 교수가 쓴 골든아워 꼭 보셈

럭키포인트 2,539 개이득

딸랑딸랑 2021.12.08 02:45  
저 말에 공감 가는데, 다른 입장도 공감 가더라.

누가 그러더라고, 결국 예산이라는 건 한정 되어 있고, 선택적으로 사용해야 되는 거고, 우리나라는 외상 환자 죽이는 대신 다른 의료 분야에 돈을 퍼부은 거라고. 공리주의 관점에서는 이게 맞는 거 같기도 해.

럭키포인트 417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