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실시간인기 > 실시간인기
실시간인기

삼성 오너경영에 관하여...( 3줄요약 있음 )

올드타운로드 44 9507 34 13

삼성 경영승계 나오면 꼭 해외는 대부분 전문경영인이다 얘기가 나와서 써봄...


전문경영인 하면


숱한 회사를 멸망의 구렁텅이에서 건져낸

조막만한 회사를 세계적 회사로 성장시킨 경력을 가진

전문적이고 경험 많고 학벌 좋은 프로페셔널 


오너경영 하면


젊어서는 난봉꾼 처럼 살다가

지맘대로 경영하는 바람에 회사는 망해가고

돈이 주는 권력으로 막 죽이고 때리고

경영에는 관심없고 매일 술과 여자나 탐하면서 사는 그런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 같더라구


오너경영을 까는 사람들이 말이지 ㅇㅇ

그렇게 댓글로 까는 사람들 보면 마치 삼성 현대 엘지 같은 기업이 가지지 못한 미래비전을 자기가 아는것 처럼 말하더라 ㅋㅋㅋ


무튼 

외국은 다 전문경영인 체제인지 알아보자....


  

세계자동차 업계 아직은 부동의 1위 도요타

토요다 키이치로 설립, 토요다 리자부로 초대 사장

쭉 토요다 가 경영 현회장 토요다 아키오 경영진 삼촌 사촌 여럿 포진


동양 회사라 그런가?


 

포드 헨리포드 설립 ,포드 가에서 쭉 회장, 보드 의장 돌아가면서 함

현재 보드 의장 윌리엄 포드 주니어


 

엑소르 피아트그룹,페라리,이코노미스트 소유 지주회사 , 유벤투스 구단주 기업

이탈리아 최대 재벌, 연매출 약 170조, 지오바니 아녤리 설립 

현재도 아녤리 패밀리가 최대주주 5대째 경영중


 

세계최대 럭셔리 회사 이름에 루이뷔통,모에샹동, 헤네시 외에

디올,벨베디어,셀린,겐조,마크제이콥스,펜디,지방시,겔랑,불가리,티파니 등등

가진브랜드 다 읽어도 1분 걸릴 회사 , 과장 살짝 보태서 샴페인 세병에 한병,

꼬냑이면 두병에 한병 , 향수면 5병에 한병은 여기꺼일듯 

베르나르 아르노 설립 수십년째 회장 , 자식 5명중 4명이 경영수업 받으면서 가업 물려받는중


 

밀레 독일 거대 가전제품 제조사 1899년 설립 , 설립자 가문 두개 밀레가문 과 진칸 가문이

지금까지 100년 넘게 경영중 지분 100% 두가문 후예가 나눠가짐


 

마스 M&M,스키틀즈,스니커즈 등 캔디류 회사

프랭클린 마스가 세움 ,계속 가족들 지분 보유

경영진 거의다 마스 일가 빅토리아 마스가 현 회장

외국 회사는 사장직 아니여도 보드를 통해 경영 참여 하기때문에

대주주가 사장이 아니라고 해서 "소유와 분리된 전문 경영인 체제다 " 라기 보기 어려운 경우가 많음

보드를 통한 경영권 행사가 매우 흔함



 

BMW 오너일가 크반트 패밀리 , 사장직은 한번도 안했지만

계속 이사회를 통해 경영 참여 ,현재도 BMW 인수한 초대오너 자녀가 모두 보드 멤버임


월마트도 그렇고...


페이스북 마크 저커버그 는 딸 태어나는 날

페북에 글올린거 본사람도 있겠지만

챈 저커버그 이니셔티브라는 조직 신설해서 

지 페북 주식 99% 기부 한다함 딸이 살아갈 세상을 위해서 

근데 저회사가 사회사업 하는 비영리재단이 아니라 '유한회사' 임. 수익사업 함 

근데 거기 기부하기로 한 주식은 페북 CLASS B 주식임 다른 일반 주식 의결권 10배 가지고 있음

그걸로 마크 저커버그 페북 의결권 60% 행사하는데 그거 주면 걍 영원히 저회사 꺼니 딸한테 페북주는거나 마찬가지


 

유럽 부자가문 따지면 한도끝도 없음..


무튼

해외도 딱히 전문경영이 주를 이루거나 그렇지도 않고.. ㅋㅋㅋ 그렇다고

더 좋다는게 아니라 오너경영도 기업지배구조의 한형태 라는 거징 ㅋㅋ


근데 전문경영인 올바르고 미래지향적이고 소유 경영은 분리하는게 무조건 좋은 거다.

라는 생각인지는 모르겠지만 걍 각각 장단점 있는 거 아닐까?


오너경영하면 의사결정이 빠르니까 뭐 삼성도 반도체투자 같은거

아마 전문경영인이면 못했을듯?? 근데 오너경영은 오너가 결정 하니까 결정에 견제가 안되서 잘못되는 것도 있겠지


테슬라 연례보고서 노트 보면 걍 우리는 회장 일론 머스크의 결정에 회사운영의 상당부분을 의존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리스크가 존재한다 라고 써놓을 정도니까 ㅋㅋㅋ


전문경영인은 여러 견제장치가 작동 한다는 점이 장점인데  의사결정이 느리고 소극적이 변하고

잘못하면 목날아가니까 단기성과만 보고 일하게 될테니까 안좋을수도 있겠 경제학에서 말하는 에이전시 코스트가 

발생하는 거지


결론은 ㅋㅋ 오너경영이라고 나쁜건 아니다??


근데 이거 보고도 무조건 전문경영인이 더좋다 보드든 뭐든 일단 외국 회사는 오너가 사장이 아니지 않느냐

그렇게 생각하면


충격적 사실 하나 남김... 


경계현 이동훈 전영현 홍원표 남준우 최성안 전영묵 최영무 김대환 장석훈 최영준 유정근 이영호 고정석 차문중


누군지 아심?


이인용 황성우 김현석 고동진 정현호 최윤호 박학규 김상균 손영권 진교영 강인엽 정은승 한종희 전경훈 노태문 황득규 엄영훈


이양반들은 들어보심?


이수빈 권오현 윤부근 신종균 김기남  


이 사람들은 들어 봤을듯


삼성 그룹 사장단 명단임ㅇㅇ 마지막 5명은 회장 부회장


이중에 오너 일가 4명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오너일가가 아닌데도 삼성경영 하는 나머지 44명 회장 부회장 사장 을 뭐라고 부르는 줄 암??





















"전문경영인"







3줄요약

​1. 오너경영 해외도 마니함

2. 전문경영 오너경영 둘다 장단점있는 경영방법임

3. 삼성 의 전문경영...








Best Comment

BEST 1 지구방위대후레쉬맨  
법만 잘 지키면 오너든 육너든 누가 뭐라 하겠냐
BEST 2 Zerrod  
현 삼성의 이슈는...오너 경영이 아니라..
오너가 아닌데 오너 행세를 하고.. (재벌구조)
오너가 되기 위한 과정이 불법, 편법이 었다가 쟁점 아님? (합병때)
BEST 3 발라모굴라스  
성공한 케이스랑 잘된 케이스만 가져왔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오너 가문 경영하다가 좃1망해서 역사에서 사라진 기업이 겁나게 많음
물론 그 반대로 전문경영인이 말아먹은 기업도 많고

쌍용, 동아, 대한항공 ,금호  등등 우리나에서 오너 리스크로 한방에 갔던 굴지의 대기업도
개 많음
44 Comments
김의성이오 2020.06.11 22:02  
오너가에는 유전혈통이라던가 어릴때부터 보고배우는 사업수완을 보통사람은 못따라간다고 본다

사업가의 자식이 창업 할 확률 높은건 어쩔수없고
장사하는 부모밑에서 자란 자식은 인생은 결국 장사다 라고하지

럭키포인트 15,241 개이득

지구방위대후레쉬맨 2020.06.11 22:02  
법만 잘 지키면 오너든 육너든 누가 뭐라 하겠냐

럭키포인트 12,118 개이득

대왕 2020.06.12 06:38  
[@지구방위대후레쉬맨] 우리나라 상속세가 ㅈㄴ높아
다른나라 상속세 비겨하면

럭키포인트 47,354 개이득

Zerrod 2020.06.11 22:08  
현 삼성의 이슈는...오너 경영이 아니라..
오너가 아닌데 오너 행세를 하고.. (재벌구조)
오너가 되기 위한 과정이 불법, 편법이 었다가 쟁점 아님? (합병때)

럭키포인트 49,366 개이득

올드타운로드 2020.06.11 22:14  
[@Zerrod] 그건 다른글들에서 이미 많이들 피터지게 싸워서
전문경영 에 관해 써봄 ㅇㅇ

럭키포인트 18,682 개이득

저축왕 2020.06.11 22:13  
승계 과정에서 불법이 만연하니까 재벌들이 욕 먹는거 아니였냐?

럭키포인트 7,710 개이득

올드타운로드 2020.06.11 22:15  
[@저축왕] 삼성 경영승계가 불법임?
저축왕 2020.06.11 22:24  
[@올드타운로드] 삼성은 재판 결과 안나왔고.. 우리나라 재벌들 중에 정당하게 승계 이뤄진 경우 별로 없지 않나?
탐크루즈 2020.06.11 22:32  
[@저축왕] 편법이지 불법이 아님.
그리고 편법이 말이 부정적이어서그렇지 법에 저촉되지않음. 아무런상관없다는거죠.
누군가가 그걸 "치사하다!"라고 느끼고"편법이네"하고 비하하는거죠

럭키포인트 33,433 개이득

이슬처럼 2020.06.11 23:08  
[@탐크루즈] 엥?? 엄연한 불법이죠. 파기환송된 제3자 뇌물 수수, 삼바 분식회계 등 불법이 난무합니다.

럭키포인트 40,263 개이득

탐크루즈 2020.06.11 23:29  
[@이슬처럼] 아아 제가 내용을 잘못봤어요ㅠㅜ 불법맞아요
제가 쓴건 상속재산 확보에 관한 부분만..ㅎㅎㅎ
이스코 2020.06.11 22:34  
[@올드타운로드] 최순실 재판 끝났으니 이제 여부 내릴듯

럭키포인트 11,217 개이득

메르카토르 2020.06.11 22:14  
법망 요리조리 편법으로 피해가면서 운영하지만 않으면, 평생 세습을 하건 뭘 하건 상관안함
오히려 삼성이라는 기업 적극 응원하지
지금도 외국에서 삼성보면 국뽕차는데

럭키포인트 13,802 개이득

대통령 2020.06.11 22:22  
법만 지키면 승계를 하든 말든 근디 그게 안되니까 문제지

럭키포인트 1,115 개이득

히하 2020.06.11 22:25  
오히려 전문경영인이 더 븅신일때가 있음
그리고 오너일가가 무너지면서 전문경영인 썼다가 전문경영인이 그 회삿돈 횡령하고 토끼는 일도 있고

럭키포인트 14,447 개이득

알토란 2020.06.11 22:31  
나도 삼성이 오너 경영하는거에 크게 문제는 없다고생각하는데
지배권을 얻기위해서는 지분을 가지고있어야하는데
그 지분 상속과정에서의 문제를 어떤방식이든 해소하지못하면 지금과같은 트러블은 언제든 일어날수있음
상속세 줄일려고 했던 일련의 행위들이 삼성을 사랑하고 응원하는 국민들에게도 안좋게 보였기태문에 문제인듯

럭키포인트 42,984 개이득

유미자 2020.06.11 22:45  
오너가에서 자라면서 듣고 배우는게 회사 경영에 큰 도움이 된다고 하더라

럭키포인트 11,804 개이득

Madbum 2020.06.11 22:52  
삼성이 승계과정에서 잡음잇는거 맞음
근데 삼성이 우리나라에서 차지하는 비중생각햇을때 전문경영인이 들어가서 말아먹을수 잇는거는 좀 위험한 리스크인듯
실제로 전문경영인은 단기적 성과에 집착해서 (계약연장이 중요하니까) 미래지향적인 투자가 힘든게 진짜 존나 큰 단점인듯
앞으로 기술발전이 더 중요해질텐데
전문경영이 잘될수 있을까
물론 엘지생활건강처럼 ㅈㄴ 능력잇는 사람 잘 고용하면 잘될수 잇긴함

럭키포인트 44,253 개이득

발라모굴라스 2020.06.11 22:54  
성공한 케이스랑 잘된 케이스만 가져왔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오너 가문 경영하다가 좃1망해서 역사에서 사라진 기업이 겁나게 많음
물론 그 반대로 전문경영인이 말아먹은 기업도 많고

쌍용, 동아, 대한항공 ,금호  등등 우리나에서 오너 리스크로 한방에 갔던 굴지의 대기업도
개 많음

럭키포인트 48,748 개이득

opggvtuccw 2020.06.11 22:58  
[@발라모굴라스] oci도 오너경영인데 지금 위험하지않냐

럭키포인트 43,161 개이득

올드타운로드 2020.06.11 23:04  
[@발라모굴라스] 오너경영 이 무슨 영화에서 유아인이 한것처럼 ㅋㅋㅋ 어이가없게 돌아가는건 아니다를

보여주려고 하다보니 ㅋㅋㅋ그리고 들었을때 알만한 곳이여야지.. ㅋㅋㅋ

중간에 장단점에서 짚었으니 이해바람.... 열심히 썼음...
메르카토르 2020.06.11 23:06  
[@올드타운로드] 자작 자료는 ㅊㅊ
발라모굴라스 2020.06.11 23:11  
[@올드타운로드] ㅇㅇㅇ 잘 쓰셨음
나는 모범적인 오너경영이면 찬성하는 편임
엘지, 삼성, 현대, sk 등 하긴 후계자 교육을 잘 시켰으니까 안 망하고 오히려 회사가
더 부흥한거겠지

일본 기업들 중에 닛산, 소니, 샤프, 도시바 같은 굴지의 대기업들이 좃1망한 이유가
전문경영인 리스크가 컷다는것도 한가지 이유였거든

왜냐면 미래사업까지 노리고 밀어부치는게 아니라 현재 가지고 있는 사업 실적만 높이면
되니까 그러다 보니 삼성 엘지 한테 개 쳐발렸지 특히 반도체 관련해서 이병철 이건희 같은 오너 아니었으면 못 밀어부쳤다고 봄

반도체 사업 역사 보면 삼성이 일본기업 미국기업이랑 치킨게임 하면서도 살아남을수 있었던건 이건희 회장 결단 없었으면 힘들었다고 봄
오너경영의 장점이 자기 독단으로 결정이 가능했기 때문에 삼성전자가 존나게 적자나도 건설, 물산, 유통 등등에서 돈 끌어와서 매꾸니까 버틸수 있었거든

요즘에는 엘지가 그렇게 하는거 같음 엘지 화학 배터리 사업에다가 모든걸 쏟아붙고 있는 느낌임 개인적으로 잘됐으면 좋겠음

럭키포인트 18,300 개이득

가나다fkfkfk 2020.06.11 22:55  
잘 썼네.

럭키포인트 40,134 개이득

올드타운로드 2020.06.11 23:02  
[@가나다fkfkfk] 쓰는데 몇시간 쓴지 모르겠네 ㅋㅋㅋㅋㅋㅋㅋㅋ

중간에 귀찮아져서 이미지 안하고 글로 때움 ㅋㅋㅋㅋㅋㅋㅋ

럭키포인트 37,272 개이득

가나다fkfkfk 2020.06.11 23:04  
[@올드타운로드]     C-
진지 2020.06.11 23:10  
와 이런내용 너무좋아요

럭키포인트 29,860 개이득

규규규 2020.06.11 23:21  
자작은 ㅊㅊ
기회되면 이런 글 많이 써줘라.
근데 삼성 이재용 승계에 대해서 비판하는 목소리 중 일부는 잘 모르면서 오너 경영 자체에 거부감 느끼는 사람도 있겠지만, 윗 댓글러들 처럼 승계 과정에서 위법 요소들에 대해서는 삼성이 아니라 삼성 할애비여도 처벌 받아야한다는 지적인거지.
오너 경영 전문경영인 경영에 대해서는 좋은 글이네

럭키포인트 39,721 개이득

친목밴 2020.06.11 23:44  
상속세만 내면 오너일가 경영이고 나발이고 신경 안쓴다

럭키포인트 8,004 개이득

호나우도 2020.06.12 00:17  
편법써서 더럽게 상속세 안내고 버팅겨서 여기까지 온거자나

럭키포인트 41,651 개이득

이슬처럼 2020.06.12 00:36  
[@호나우도] 편법(X)
불법(O)

그것도 수십년에 걸쳐서.... 에버랜드 사건까지 올라가면 장장 20년....
flagsheep 2020.06.12 00:19  
이 글의 문제점은 주주 / 이사회 / Executive Director의 개념이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섞어쓴다는 거임... 전문경영인은 CEO등의 Executive Director면 되는거고 꼭 BoD 멤버이거나 주주일 필요는 없음.  창업가가 50% 이상을 가지고 있어도, 경영에 참여안하고 BoD에만 있다으며, BoD가 Executive Board를 견제하는 구조가 갖춰져 있으면 문제가 없지, 창업가와 주주 사이에 이해갈등이 존재할 필요가 없으니 (회사의 사유화가 X).  한국 재벌의 고질적 문제는 기업 가버넌스 구조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

럭키포인트 20,700 개이득

별다방이좋아 2020.06.12 13:25  
[@flagsheep] 잘 짚으셨네요.

럭키포인트 32,619 개이득

뚱뚱보루 2020.06.12 16:37  
[@flagsheep] 말씀하신대 국내 기업 가버넌스 구조 문제가, 일부 오너라는 사람들에게 보유지분보다 월등한 회사내 지배권을 보장해주는 구조의 문제라고 이해해도 되겠습니까?
 
근데 그런 구조적 문제? 외국과의 차이 하에서 회사를 하나의 수익을 위한 단체로만 놓고 볼 때
전문경영인이 경영시 회사자체의 소유주가 아니니 임기동안만의 최대수익창출과 결과적으로 주가 부양을 위한 극단적인 주주환원의 방향 보다는 /
일부가 오너에게 편향적인 이권이 돌아가더라도 회사 전체로 봐서는 당장의 눈앞의 수익 보다는 미래를 위한 투자가 가능해 회사의 영속성과 장기적인 수익에 더 도움이 될수 있다는 글로 보이는데요

회사 라는 이익단체에서 보면 후자가 더 옳은 결과를 내는 구조 일수 있지 않나요?
물론 위법적인건 집고 넘어가야겠지만 그 구조의 방향이 꼭 개선해야될 '문제' 수준일까요?

럭키포인트 1,569 개이득

flagsheep 2020.06.12 17:25  
[@뚱뚱보루] 당장의 눈앞의 수익 보다는 미래를 위한 투자라는 것이 얼마나 앞을 내다보고 하는 말인가요? 10년-20년 인가요?  중장기 전략은 기본이 3-5년이고, 이 정도는 미국의 일반적인 대기업의 전략 수립에서 long-term incentive로 충분히 커버 가능한 부분입니다.  미국의 제약회사가 전문경영인 체제라고해서 연구개발 비용을 줄이거나 단기적인 전략으로만 접근하거나 하던가요?
재벌체제는 삼성물산사태, 한진, 금호등등의 그룹의 예에서 보이듯이 오히려 회사의 사유화나, 그룹안에서의 도와주기 정책때문에 엄청난 경제적, 사회적 손실을 일으키고 있는경우가 많아보입니다.
결과적으로 주가 부양을 위한 극단적인 주주환원의 방향 보다는 이라고 말씀하셨는데, 주식회사는 단순히 최대수익창출이 아니라, shareholders' value의 최대화가 중요합니다.  기업가치, shareholders' value의 최대화의 관점에서 봤을때 단기적 주가상승을 위한 극단적인 배당금의 상향등은 오히려 기업가치, shareholders' value의 훼손시키는 행위라는 것은 상식이고, 미국의 예에서도 전문 경영인이라고 shareholders' value를 끌어내리는 주주환원을 노리는 기업은 많지 않아요..
일부 재벌오너의 입장에서 볼때는 오히려 장기적인 주가상승은 경영권 승계 문제에서 방해가 되며 (애초에 경영권을 계속 승계하기 위해서는 주식을 팔 수가 없으니...), 배당금을 늘리고, 회사의 이익을 늘리기 보다는, 회사의 비용(급여나 회사비용처리)으로 자신의 사리사욕을 채우고 횡령을 하는 것이 더 큰 이익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도, 저는 재벌오너가 BoD 멤버로 있는 것에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아니라, Executive로 있는것에 대해 이의제의를 하는거라... BoD 멤버로만 참여하는경우,  executive로써 참여할때에 비해 회사의 사유화, 횡령등의 문제가 엄청 줄어듬과 동시에, 주식을 장기적으로 판매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장기적인 shareholders' value의 상승에 주주와 이해관계가 일치되어 더욱더 장기적 전략을 노릴 수 있는것 아닌가요?

럭키포인트 31,491 개이득

뚱뚱보루 2020.06.13 20:14  
[@flagsheep] 식견이 깊으시네요.
제가 이 분야의 전문가는 아니라 잘알고 하는 소리는 아니고 추상적으로 오너경영이 회사 입장에서 이기적인 선택을 더 할수 있지 않나 생각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제가 이런 생각을 하는 몇몇 예를 말씀드리고 의견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사명은 말안해도 다 아실것 같아서
미국의 독보적 위치의 기간산업으로 수십년간 흑자 경영을 유지하며 배당&자사주 소각으로 주주가치를 실현하던 회사가 한번(연속된 두세번?)의 위기에 유동성이 끊겨 휘청하는것보다는 

사내보유금 및 회사 자산 증식에 더 자금을 쏟아 부어서 위기에서 더 버틸 체력을 쌓아 두는게 회사이익에 부합하지 않나 그리고 설탕만들던 회사가 반도체를 만들기로 전혀 다른 사업으로 뛰어든다던가 하는 전격적인 신사업 모델로 투자가 가능할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듭니다. 

전자는 말씀하신 극단적인 배당성향등으로 밸류훼손의 예가 되는것일수도 있겠고, 
그리고 후자는 오너경영이 아니라도 그런식의 자산 운영은 적절한 수준에서 이루어 질수 있는것이며, 심지어 배당을 하지도 않는 회사도 아니라는 논거의 취약한 부분은 제가 인지가 되는데 이게 말씀하신 범위 내에서 이해하면 되는 부분일까요
친일파숙청 2020.06.12 03:59  
잘 읽었습니다~~

럭키포인트 12,086 개이득

고추잡채 2020.06.12 04:04  
삼전을 전문경영인이운영하면 알앤디에 기둥뽑아넣는짓 못하는거아님? 배당금이나돌리지

럭키포인트 33,553 개이득

ㅁㅈㅂㅇㅂㅌㅊ 2020.06.12 07:21  
맥도날드 여사장이 전형적인 전문경영인 폐해 보여주는 사람이지

럭키포인트 27,718 개이득

태화사 2020.06.12 09:05  
삼성 사장단, 회장단을 부르는 명칭은 '전문경영인'이라기 보다는 '가신' 아닐까요?
삼성가의 차명 자산 관리한다는 설도 많으니...

럭키포인트 42,507 개이득

올드타운로드 2020.06.12 11:36  
[@태화사] 아 “설” 이 많구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팩트 감사합니다 ^^ 하나 배우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럭키포인트 21,721 개이득

썸타다8090 2020.06.12 09:14  
우리나라는 왜,재벌이라는 용어를 쓰는지? 아시는지?
그 벌 자의 한자가 무슨 뜻인지? 군벌 족벌 할 때 벌 자 입니다

소수의 사례보다는
다수의 사례 특히
스웨덴의 발렌배리 가문을
좀 더 공부하시고

생각을 정리해 보시길

또한 지금의 대재벌의 탄생에

일제식민지 시대 이후 어떻게
적산 자산을 짬자이로
불하 받아가지고 시작했는지

반민주화 독재세력들과
어떻게 결탁해서 성장을해 왔는지,
Imf에 서민들은 모가지 짜르고
신불자로 길바닥에 나 앉아 있을 때

공적자금이 어떻게
재벌들을 살려주었는지?

역사적 사실을
시대정신을 가지고

따져보시길

쫌~~~~~~

럭키포인트 2,311 개이득

에취 2020.06.12 09:57  
상속세만 없어지면 해결되는 문제인가?

럭키포인트 16,416 개이득

그라할트밀즈 2020.06.12 10:31  
스크롤 ㅂㅊ 죄송 ㅜ

럭키포인트 6,870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