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실시간인기 > 실시간인기
실시간인기

대한민국 제2의 도시 타이틀을 위협받는 부산

마동석 47 10440 33 0

한국 제2의 도시가 어디냐는 말에 아직은 부산이 더 많음


근데 인천이라 말하는 사람도 많아짐


현재 부산은 인구가 지속적으로 줄어서 339만

10년 동안 약 17만명 빠짐

고령화가 심해지고 일자리가 없어서 젊은 사람들이 다 수도권으로 진학하고 일자리 얻으러 올라간다 함


이 시민이 그와 같은 케이스임


반대로 인천은 신도시와 인프라가 잘 되어 있고

서울이랑 가깝다는 이점이 있어 인구가 계속 늘어나는 중임 현재 294만

과연 10년 내에는 그 타이틀이 바뀔까??

그리고 대구는 이미 인천에 밀린지 한참 됨

Best Comment

BEST 1 세라공주  
[@몰라몰라모올라] 지역내 총생산은 이미 인천에 발렸고
인구도 10년내로 역전당하는걸로 통계청 전망나옴
BEST 2 빵꾸똥꾸  
[@상인] 고민할정도는 아닌것 같은디..
BEST 3 dlqjstodeh  
부산의 줄어든 인구 17만이 연령대가 골루 분포된게 아닌, 생산연령대라는게 제일 문제지.
그런데 웃기게도 집값은 폭등하고, 참 희안한 현상이야.
47 Comments
몰라몰라모올라 2020.12.26 00:51  
부산도 지방 거점도시로 전락한건가.. ㅠㅠㅠ

럭키포인트 611 개이득

세라공주 2020.12.26 00:54  
[@몰라몰라모올라] 지역내 총생산은 이미 인천에 발렸고
인구도 10년내로 역전당하는걸로 통계청 전망나옴

럭키포인트 14,808 개이득

맹구 2020.12.26 00:56  
수도권만 살아나네

럭키포인트 29,422 개이득

네즈코 2020.12.26 00:57  
수도권 집중
장기적으로 나라가 망하는 방향인데
뭐 저거 아니라도 인구감소로 망해가고 있으니 ㅠㅜ

럭키포인트 13,861 개이득

상인 2020.12.26 00:59  
요샌 부산경북도 인천대랑 놓고 고민하더만;; 수도권 주거 기준

럭키포인트 14,579 개이득

꽐라센도 2020.12.26 01:02  
[@상인] 학교가 되게 잘 지어져서 좋긴함 거기

럭키포인트 26,468 개이득

빵꾸똥꾸 2020.12.26 01:06  
[@상인] 고민할정도는 아닌것 같은디..

럭키포인트 11,545 개이득

느바 2020.12.26 01:27  
[@빵꾸똥꾸] 일반과는 고민할정도 아닌거 맞음
특수과의 경우는 고민할만함. 인프라도 좋고 기숙사 수용률도 높고

인천하면 인하대였는데 그런 인식도 많이 변하는 중
그리고 송도를 중심으로 발전하는지라 어쨌든 점차 상승중

럭키포인트 428 개이득

상인 2020.12.26 01:50  
[@느바] 인천대 어서오고
느바 2020.12.26 01:51  
[@상인] INU는 프누대랑 경북대가 공대만 따져봐도 압살 ㅋㅋ
상인 2020.12.26 04:38  
[@느바] INU랑 프누가 머임?
춰컬릿 2020.12.26 08:28  
[@상인] 인천대(inu), 부산대(pnu) 둘 다 국립대

럭키포인트 15,760 개이득

홍익현 2020.12.26 18:05  
[@상인] 09학번인데 부산,경북대급은 솔직히 오바고 국민대 전남대 같이 붙었는데 인천대감

럭키포인트 15,584 개이득

상인 2020.12.26 18:41  
[@홍익현] 근데 오히려 입결은 부산 경북 보다 국민이 높지 않나요?? ㄷㄷㄷ

럭키포인트 10,769 개이득

홍익현 2020.12.26 19:04  
[@홍익현] 건동홍부터가 인서울 갈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했고 그당시 제 기준에 국민대보다는 부산,경북이 더 좋다고생각했고 지금도 그렇게 생각함니다.
상인 2020.12.26 19:49  
[@홍익현] 사실 입결이 국민이 앞서다는거고 아웃풋은 경북 부산이 건동홍 보다도 쌔긴하지
HSY3P 2020.12.26 01:02  
제1도시 서울
제2도시 부산
제3도시 인천
제4도시 대구 광주
이건 줄 알고 있는데

럭키포인트 29,322 개이득

어니부기 2020.12.26 01:58  
[@HSY3P] 광주는 쪼그라들대로 쪼그라들어서 인구 대전보다 적음. 심지어 세종 생기고 대전인구 대규모 유출있었는데도..

럭키포인트 29,374 개이득

버나드윤 2020.12.26 18:29  
[@HSY3P] 광주는 빠져야져

차라리 대전이 잠재력이 있을듯

미래에는  서울 / 경기남도 / 경기북도 /  인천  / 부산 /  대전  / 대구 순서일듯

럭키포인트 470 개이득

상인 2020.12.26 19:49  
[@HSY3P] ㅋㅋ광주사람 어서오고
한국전력공사 2020.12.26 01:29  
부산 인구빠지기 시작한지 꽤 오래되지 않았나? 예전에 350만 깨진다 마네 했던걸로 기억하는데

럭키포인트 24,954 개이득

올해는 2020.12.26 01:31  
일본을 보면 도쿄 오사카(우리나라 부산느낌) 순이었는데 언제 부터인가 도쿄 옆 카나가와현(요코하마시 포함, 우리나라 인천느낌)이 오사카를 넘어서고 수도권 집중화가 계속 진행중임

근데 우리나라가 일본(1/3수준)보다 훨씬 수도권 몰빵이 심함. 우리나라는 수도권 50% 넘어섬. 계속 진행 중이고 60% 선도 넘어갈 것 같아서 인천뿐만 아니라 경기도 내의 100만 넘는 도시 수원, 고양, 용인시 인구가 대전 광주 넘어가는것도 시간문제임.

럭키포인트 19,312 개이득

상인 2020.12.26 19:50  
[@올해는] 심지어 특례시 지정까지 ㄷㄷ
브래드킹 2020.12.26 01:33  
마계는 좀

럭키포인트 28,841 개이득

Steam 2020.12.26 01:36  
리얼루 일자리가 없다

럭키포인트 17,359 개이득

헤이러 2020.12.26 01:40  
일거리가 없으니 굳이 부산에서 살이유가 없음

럭키포인트 27,603 개이득

dlqjstodeh 2020.12.26 02:22  
부산의 줄어든 인구 17만이 연령대가 골루 분포된게 아닌, 생산연령대라는게 제일 문제지.
그런데 웃기게도 집값은 폭등하고, 참 희안한 현상이야.

럭키포인트 16,836 개이득

느바 2020.12.26 02:28  
[@dlqjstodeh] 해운대 마린시티 같은거 보면 에셋 파킹외에는 변수 없지않나 싶더라구요
군사전문가 2020.12.26 02:36  
[@dlqjstodeh] 다른데 안갔음
양산 김해 창원으로 다 갔음

은퇴한 베이비 부머들이 굳이 시내에 안살아도 되니 외곽인 양산이나 장유로 이주해서 줄어든 것처럼 보일뿐 실제 생활권내 인구는 줄지않았음
dlqjstodeh 2020.12.26 10:29  
[@군사전문가] 잘못 알고 계시네요. 장유나 양산신도시 보시면 젊은 세대들입니다. 오히려 젋은세대들은 부산집값이 부담이라서 외곽으로 빠졌고, 이미 부를 구축한 베이비부머들은 시내에 살고 있습니다.
노인들이 더 시내를 선호합니다. 갖춰진 인프라를 누구보다 좋아하고, 이게 더 돈이 된다는걸 알기에 이미 구입해서 살고있는 부동산을 절대 팔지 않거든요.
실제 생활권내 인구는 줄지 않았다는 동의합니다. 양산에서 일하는 제 친구도 주말이면 부산으로 놀러오는거 보면 맞는거 같습니다.
군사전문가 2020.12.26 02:35  
10년동안 인구가 17만이 줄어서 그 사람들이 어디로 갔을까?
10년동안 양산인구가 11만명 늘었고 김해가 3만명늘었음
나머지는 창원, 진해쪽으로 2만가량 옮긴걸로 보이고.
결국 동남권 광역인구는 변하지 않았음
인구가 위성화된거지 제2도시임에는 틀림없다

럭키포인트 10,041 개이득

상인 2020.12.26 19:51  
[@군사전문가] 애쓰고 있는 부산러 1인
내꿈은로또일등 2020.12.26 02:58  
마계인천 고담대구는 키우지말자

럭키포인트 22,894 개이득

엠봉에서와써영 2020.12.26 05:26  
부산은 쉬고 놀러가는곳

럭키포인트 22,720 개이득

맑음 2020.12.26 05:34  
마! 니 더킹 영원의 군주 안봤나

럭키포인트 11,618 개이득

Margar999 2020.12.26 07:36  
인천은 수도권이라 도시로 치기도 뭐하다

럭키포인트 12,218 개이득

Yggdrasill 2020.12.26 10:56  
[@Margar999] 이건 또 무슨소리야 ㅋㅋㅋㅋㅋㅋ

럭키포인트 6,393 개이득

LACOSTE 2020.12.26 09:30  
마 ! 여기 통이 누고? 가 그래서 나왔나

럭키포인트 22,744 개이득

메르카토르 2020.12.26 13:25  
국가적 차원으로 봐도 안좋은 상황이지만
제2의 도시가 인천이라는건 기정사실화인듯

럭키포인트 3,610 개이득

장이수 2020.12.26 15:08  
인천29년 토박이로써 느끼는건 중고등학생때인 2000년대 중후반부터 지금까지 인프라나 이것저것 엄청 많이생김 그리고 지금 재개발 하는곳도 많고 완료한곳도 많고 앞으로 10년내에 70-80프로이상 재개발 완료되어서 유입더 늘어날듯(구도심재개발)

럭키포인트 19,139 개이득

올림픽대로 2020.12.26 15:56  
27년동안 인천살다 부산내려와서 1년 살아봣는데, 인천이 2의 도시인듯

럭키포인트 2,796 개이득

색스왕 2020.12.26 18:11  
일자리가 없음 ;; 같은직종이라도 윗지방이랑 월급차이 많이남  돈은 적게 벌고 인구는 많고 집값은 비싸고 시부랄거

럭키포인트 828 개이득

대왕 2020.12.26 18:36  
부산 사람들 다 인근으로 간거 아닌가

럭키포인트 10,757 개이득

매미소리 2020.12.26 21:38  
부산은 수도랑 거리가 너무멀어

럭키포인트 14,812 개이득

일요일오후 2020.12.26 23:24  
ㅋㅋㅋ이 좁은 땅덩이에서 제2의도시 3의도시 학교가 어떻고 ㅋㅋㅋ 글은 그냥 그렇구나 내렸는데 댓글보고 웃고 감

럭키포인트 22,366 개이득

Hoxy 2020.12.27 00:32  

럭키포인트 11,173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