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실시간인기 > 실시간인기
실시간인기

오피셜) 노벨화학상을 두 번 받게 된 과학자 탄생

에그몽 2 2472 14 0

image.png 오피셜) 노벨화학상을 두 번 받게 된 과학자 탄생

image.png 오피셜) 노벨화학상을 두 번 받게 된 과학자 탄생
 

'클릭 화학' 개념을 제시한 칼 배리 샤플리스 


2022 노벨 화학상 수상자 중 한 명으로 결정


이는 2001년에 이어 다시 한 번 수상하게 된 것


노벨화학상 두 번 수상은, 프레더릭 생어에 이은 두 번째 사례

Best Comment

BEST 1 철가면  
설명은 이런데.. 모르겠음 ㅋㅋ 2001부터 꾸준히 뭔가를 해서 나온 결과 인가 싶기도..


 ○ “클릭(click)”의 개념이 소개된 것은 2001년 Sharpless 등에 의해서이다. 이 화학적 개념과 원리는 합성을 통하여 생체재료를 디자인하는 분야에 큰 영향을 끼쳤다. “클릭”이라는 화학적 원리는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자연에서 “분자를 쉽게 연결하여 또 다른 분자를 만드는 것”을 모방한 것이다.

○ 복잡하고 긴 시간에 걸쳐 복잡한 경합을 형성하는 대신에 “똑딱”하는 사이 내지는 컴퓨터 마우스를 “클릭”하는 것처럼 2가지 성분을 효율적으로 연결시키는 반응을 일괄하여 “클릭”화학이라 칭하고 있다. Sharpless 등이 제시한 “클릭” 반응에 대한 정의는 엄격한 기준을 내포하고 있다. “클릭” 반응은 “모듈 개념으로 적용 범위가 넓고, 수율이 높고, 입체규칙성이고, 간단해야한다”라고 표현되고 있다. 이를 위해 생성물에 방해가 되는 부반응물이 거의 없어야 하고, 반응 조건은 온화하여 용매제거가 용이하고 물을 주로 사용한다.

○ 금속 촉매에 의한 아자이드/알킨 “클릭(click)” 반응은 고분자과학 영역에서 응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이 클릭 반응은 말단 아세틸렌과 아자이드 사이의 Huisgen 1,3-양극성 고리 부가반응(1,3-dipolar cyclo- addition reaction)의 변형이다. 이 반응은 몇 개 안되는 고효율 기능화 반응으로 아주 온화한 반응조건(25~70℃)과 용매를 활용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문헌에서는 이 반응을 통한 고분자과학 분야의 적용 사례를 살펴보았다. 주된 관점은 기능화된 고분자구조와 표면의 합성이다.

○ CuAAC 반응과 결합하여 다른 “클릭” 반응의 응용으로 복잡하고 구조적으로 정밀하게 조절된 고분자 제조의 범위가 더욱 확대될 것이다. 다른 과학 분야에서 CuAAC “클릭” 화학은 많은 “클릭” 반응과 성공적으로 결합되어 왔다. CuAAC 이외의 대표적인 “클릭” 반응으로는 옥심(oxime) 형성, Diels Alder 반응, 메타세시스(metathesis) 반응, Staudinger 결합, 아미드결합 형성, 디설파이드 결합 형성 등이 있다. 이를 통해 여러 화학적 결합을 연속적으로 조절된 방법이 달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2 Comments
철가면 2022.10.08 01:14  
설명은 이런데.. 모르겠음 ㅋㅋ 2001부터 꾸준히 뭔가를 해서 나온 결과 인가 싶기도..


 ○ “클릭(click)”의 개념이 소개된 것은 2001년 Sharpless 등에 의해서이다. 이 화학적 개념과 원리는 합성을 통하여 생체재료를 디자인하는 분야에 큰 영향을 끼쳤다. “클릭”이라는 화학적 원리는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자연에서 “분자를 쉽게 연결하여 또 다른 분자를 만드는 것”을 모방한 것이다.

○ 복잡하고 긴 시간에 걸쳐 복잡한 경합을 형성하는 대신에 “똑딱”하는 사이 내지는 컴퓨터 마우스를 “클릭”하는 것처럼 2가지 성분을 효율적으로 연결시키는 반응을 일괄하여 “클릭”화학이라 칭하고 있다. Sharpless 등이 제시한 “클릭” 반응에 대한 정의는 엄격한 기준을 내포하고 있다. “클릭” 반응은 “모듈 개념으로 적용 범위가 넓고, 수율이 높고, 입체규칙성이고, 간단해야한다”라고 표현되고 있다. 이를 위해 생성물에 방해가 되는 부반응물이 거의 없어야 하고, 반응 조건은 온화하여 용매제거가 용이하고 물을 주로 사용한다.

○ 금속 촉매에 의한 아자이드/알킨 “클릭(click)” 반응은 고분자과학 영역에서 응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이 클릭 반응은 말단 아세틸렌과 아자이드 사이의 Huisgen 1,3-양극성 고리 부가반응(1,3-dipolar cyclo- addition reaction)의 변형이다. 이 반응은 몇 개 안되는 고효율 기능화 반응으로 아주 온화한 반응조건(25~70℃)과 용매를 활용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문헌에서는 이 반응을 통한 고분자과학 분야의 적용 사례를 살펴보았다. 주된 관점은 기능화된 고분자구조와 표면의 합성이다.

○ CuAAC 반응과 결합하여 다른 “클릭” 반응의 응용으로 복잡하고 구조적으로 정밀하게 조절된 고분자 제조의 범위가 더욱 확대될 것이다. 다른 과학 분야에서 CuAAC “클릭” 화학은 많은 “클릭” 반응과 성공적으로 결합되어 왔다. CuAAC 이외의 대표적인 “클릭” 반응으로는 옥심(oxime) 형성, Diels Alder 반응, 메타세시스(metathesis) 반응, Staudinger 결합, 아미드결합 형성, 디설파이드 결합 형성 등이 있다. 이를 통해 여러 화학적 결합을 연속적으로 조절된 방법이 달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럭키포인트 28,249 개이득

수달이 2022.10.10 02:16  
화학과 생물학쪽 대학원생으로써
진짜 반응 잘가고 흠없는 화학반응임
누구나 할수 있을정도로 쉽고.
진짜 받을만한거긴 했는데 설마 받을줄은 몰랐네

럭키포인트 13,568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