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실시간인기 > 실시간인기
실시간인기

Best Comment

BEST 1 개수박  
지나가던 수명 10년 남은 입시컨설팅 하는 사람입니다.
저도 한 10년 쯤 보고 있고, 살아남는 시장은 sky나 의치한약수 시장 정도? 프리미엄만 살아남지 않을까 합니다.
또한 사교육에서는 학생들이 줄수록 학원이 망한다라는 얘기는 약간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고 투자하는 분들도 많긴 합니다.
애들이 적게 태어나니 사교육 총 비용이 줄어들것이다 라는 5년전 기사가 있었는데 작년에 1인당 사교육비가 최고를 찍었습니다.
애들이 적게 태어나면, 제대로 쓰자!! 라는 부모들의 심리가 작용하는 것 같습니다.
약 10년 후면 지금보다 대학의 의미가 조금 더 후퇴하지 않았을까 싶지만, 그래도 인서울권 경쟁은 치열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중위권 대학들이 진짜 원서만 넣어서 갈 수 있게 된다면 앵간한 타이틀의 대학을 가지 않는 한 대학을 가는 것이 큰 의미가 없어질 것이고, 그렇게 되면 상위권을 어떻게든 들어가려는 경쟁은 더 치열해진다는 시선도 있습니다.
저도 한 10년 후에는 치킨 팔고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하는데.. 아무튼 절대적으로 학생들이 줄어들고 있지만 지금 교육을 정치권에서 계속 건드는 이유는 어쨌든 자녀들의 교육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40~60 인구가 우리나라가 아주 많은 편이고 이쪽에 진보가 더 많다보니 보수쪽에서도 나름의 카드(?)를 꺼낸게 아닌가 싶습니다.
저도 수능을 이렇게 터치할줄은 예상못했는데 역시 정치는 예측도 안되고 알 수도 없네요. 일단 저 발언 때문에 현재 고3 애들이 난리가 난건 사실이긴 합니다.
작년에 비해 만약에 수능이 쉽게 나온다고 하면 수능최저(수능에서 3 3 3 3 을 받으면 3과목 합 9 등)를 전형마다 걸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작년 난이도보다 쉬워지면 이 수능최저를 통과하는 비율이 높아지니까 실질경쟁률(수능최저를 통과해서 면접을 보는 찐 경쟁자)이 높아지게 되고 그럼 될 수 있던 학생이 안되는 경우도 발생을 할 수 있습니다.
암튼 그런 상황입니다. 주저리 주저리 써봤습니다.
12 Comments
상의만입은곰돌이푸 2023.06.28 22:55  
현우진이
이번 킬러문항없애면서 교육개혁하는데
애들 불쌍하다고 하는것도 공감안됨
그렇게 애들에 대한 교육열 애정이 있다면
EBS나와서 강의하면될텐데

이전에는 공교육바로세우자고 난리에
입학사정관제며 내신비율높이자고 난리란 난리는 다피워놓고
이제는 무슨 사교육의 수호신으로
태세전환 하는거 너무 추악하다

손회장이 말하는것처럼
입시교육..이제 얼마안남았다면
하루라도 빨리 개혁이 이루어지길

럭키포인트 18,050 개이득

지으싯븾 2023.06.28 22:59  
[@상의만입은곰돌이푸] 현우진 같은 인기 강사들이 ebs에서 수업을 하지 않아서 킬러문제에 대한 형평성이 없다 라는 말씀이시라면 수능에 대한 이해가 잘 안 되신것 같네요.
결국 한국 입시에서 줄세우기란 필연적인 현 상황에서 어려운 문제를 내는건 당연한 것이며 그것을 풀 수 있는 것은 당연히 머리 좋은 애들뿐입니다. 머리가 비교적 떨어지는 학생들이 인기강사 강의를 듣는다고 과연 몇이나 성적이 오를까요?? 당장 인기강사 강의를 듣는 학생들의 1-2등급 비율만 봐도 뻔히 보이는데 무슨 현실을 부정하며 "아몰라 어쨌든 어려운 문제 나오는건 잘못 된거야!" 이러는건 아닌지 되묻고 싶습니다.

그리고 현우진과 밑 문장과는 상관없는 얘기아닌가요? 내신비율 높이자는건 역대 대통령들의 사교육 줄인다는 사명하에 똥볼(시험 범위 축소와 탐구과목 수 줄임)찬 결과일 뿐이고 굳이 따지자면 인강강사들은 상위권 이상 및 수시 최저 목적을 둔 학생을 주 타겟으로한 강의를 한 사람들이구요. (성적과 무관하게 다양하게 성적대의 학생들이 인강을 들은거는 별개의 문제고...)

럭키포인트 19,661 개이득

닉네임말 2023.06.29 07:52  
[@지으싯븾] 어.. 근데 대체는 있나요?
문제가 많다 안된다...
강경하지만 괜찮은 것 같은데

럭키포인트 14,303 개이득

지으싯븾 2023.06.29 08:58  
[@닉네임말] 그럼 상위권 위로는 어떻게 변별할건가요??

시험 범위가 줄어들었다하여 학생들의 부담이 줄어든 것도 아닌거보면 그냥 이전처럼 범위를 늘리는게 더 낫다고 봅니다. 킬러문항을 없애는건 상위권 위로 변별하기 위한 방책이 될 수 없어요
지으싯븾 2023.06.28 23:06  
[@상의만입은곰돌이푸] 추가로 손주은 회장은 저 말 하기 하루 전 kbs 에서는 킬러문제가 사실상 문제 없다는 말 했다가 세무조사이슈 뜨고나서 저런 말 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 사람도 그저 교육을 걱정하는게 아닌 일개 사업자일 뿐이죠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031993?sid=102
개수박 2023.06.28 22:58  
지나가던 수명 10년 남은 입시컨설팅 하는 사람입니다.
저도 한 10년 쯤 보고 있고, 살아남는 시장은 sky나 의치한약수 시장 정도? 프리미엄만 살아남지 않을까 합니다.
또한 사교육에서는 학생들이 줄수록 학원이 망한다라는 얘기는 약간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고 투자하는 분들도 많긴 합니다.
애들이 적게 태어나니 사교육 총 비용이 줄어들것이다 라는 5년전 기사가 있었는데 작년에 1인당 사교육비가 최고를 찍었습니다.
애들이 적게 태어나면, 제대로 쓰자!! 라는 부모들의 심리가 작용하는 것 같습니다.
약 10년 후면 지금보다 대학의 의미가 조금 더 후퇴하지 않았을까 싶지만, 그래도 인서울권 경쟁은 치열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중위권 대학들이 진짜 원서만 넣어서 갈 수 있게 된다면 앵간한 타이틀의 대학을 가지 않는 한 대학을 가는 것이 큰 의미가 없어질 것이고, 그렇게 되면 상위권을 어떻게든 들어가려는 경쟁은 더 치열해진다는 시선도 있습니다.
저도 한 10년 후에는 치킨 팔고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하는데.. 아무튼 절대적으로 학생들이 줄어들고 있지만 지금 교육을 정치권에서 계속 건드는 이유는 어쨌든 자녀들의 교육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40~60 인구가 우리나라가 아주 많은 편이고 이쪽에 진보가 더 많다보니 보수쪽에서도 나름의 카드(?)를 꺼낸게 아닌가 싶습니다.
저도 수능을 이렇게 터치할줄은 예상못했는데 역시 정치는 예측도 안되고 알 수도 없네요. 일단 저 발언 때문에 현재 고3 애들이 난리가 난건 사실이긴 합니다.
작년에 비해 만약에 수능이 쉽게 나온다고 하면 수능최저(수능에서 3 3 3 3 을 받으면 3과목 합 9 등)를 전형마다 걸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작년 난이도보다 쉬워지면 이 수능최저를 통과하는 비율이 높아지니까 실질경쟁률(수능최저를 통과해서 면접을 보는 찐 경쟁자)이 높아지게 되고 그럼 될 수 있던 학생이 안되는 경우도 발생을 할 수 있습니다.
암튼 그런 상황입니다. 주저리 주저리 써봤습니다.

럭키포인트 27,975 개이득

빵꾸똥꾸 2023.06.29 10:59  
[@개수박] 저는 벌써 이직했숨다

럭키포인트 3,294 개이득

대왕 2023.06.29 11:06  
[@개수박] 얼마벌어요?

럭키포인트 23,953 개이득

개수박 2023.06.29 11:36  
[@대왕] 월마다 달라요 여기도 100% 프리랜서라서 하는만큼입니다 ㅋㅋ
대치동 최상위권 컨설팅 하는 사람들은 아마 학생 한명당 1년에 2천 3천 받을거고
스카이캐슬은 실화 기반입니다
물론 위와 같은 케이스는 상위 0.05% 정도?
대부분은 학기 관리에 200 정도 받을거에요. 여기에 대학생이나 서브 샘 붙이면 순이익은 30% 정도

럭키포인트 5,381 개이득

개죽이 2023.06.28 23:04  
어차피 갈 놈은 감

럭키포인트 27,027 개이득

젠틀맨 2023.06.29 10:26  
ㄹㅇ 저출산 심각하다...

럭키포인트 7,438 개이득

191013전역 2023.06.29 11:02  
개혁하려면 수능을 없애야 개혁이지

럭키포인트 15,990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