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실시간인기 > 실시간인기
실시간인기

Best Comment

BEST 1 드롭박스  
[@fdshow6] 그런 말이 번역이 힘든게,
사실 한국인도 특정 색을 딱 보여줬을떄 이게 푸르스름인지 푸르딩딩인지 퍼런 건지 잘 모르기때문에 그러함.

왜냐면 한국에서 색깔을 지칭하는 단어의 많은 부분들이 미술을 통해 학문적으로 정의되었다기보다는 농사라던지 생활에서 계절이나 날씨,자연 등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개인의 체험이나 추상적인 경험이 개입되기 때문임.
그래서 특정색깔을 놓고봤을때 내가 볼땐 붉그스름한데 쟤가 볼땐 붉그죽죽이 되는거.

사실 색을 지칭하는 단어의 숫자나 정확성 자체는 영어가 압도적임.
BEST 2 일백년  
[@드롭박스] 이거 맞음. 우리는 그냥 푸르딩딩 푸르스름같은 2~3가지 애매모호한 표현으로 치부해버리는 색이 영어로는 수십가지의 정확한 단어로 규정되있더라.
BEST 3 asup  
[@일백년] 애매모호/치부라는 단어의 부정적 어감때문에 사족을 덧붙이자면, 어휘의 다양성은 문화적 배경에 기인합니다. 미술이 철학과 깊숙히 연간되어 있던 서양은 이념과 사상의 규명을 위해 색채어의 구분이 뚜렷해야 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고, 동양은 그럴 필요가 없었던 것이지요. 대신 농업에 산업의 근간을 두었던 탓에 서양의 Rice라는 단어가 한국에선 벼,겨,쌀,밥 등 다양한 어휘로 나타나는 것이고요.
22 Comments
fdshow6 2021.08.11 07:17  
푸르스름 푸르딩딩 이런것도 힘들지않나?

럭키포인트 10,710 개이득

스앤피500 2021.08.11 07:23  
[@fdshow6] 그런 맥락으로 채식주의자 작가가

당신 번역땜에 상받은 거라고

번역가한테 인세인가 절반 떼줌

럭키포인트 191 개이득

드롭박스 2021.08.11 07:27  
[@fdshow6] 그런 말이 번역이 힘든게,
사실 한국인도 특정 색을 딱 보여줬을떄 이게 푸르스름인지 푸르딩딩인지 퍼런 건지 잘 모르기때문에 그러함.

왜냐면 한국에서 색깔을 지칭하는 단어의 많은 부분들이 미술을 통해 학문적으로 정의되었다기보다는 농사라던지 생활에서 계절이나 날씨,자연 등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개인의 체험이나 추상적인 경험이 개입되기 때문임.
그래서 특정색깔을 놓고봤을때 내가 볼땐 붉그스름한데 쟤가 볼땐 붉그죽죽이 되는거.

사실 색을 지칭하는 단어의 숫자나 정확성 자체는 영어가 압도적임.

럭키포인트 6,859 개이득

fdshow6 2021.08.11 07:47  
[@드롭박스] 아 그렇구나 오호...
일백년 2021.08.11 07:52  
[@드롭박스] 이거 맞음. 우리는 그냥 푸르딩딩 푸르스름같은 2~3가지 애매모호한 표현으로 치부해버리는 색이 영어로는 수십가지의 정확한 단어로 규정되있더라.

럭키포인트 25,767 개이득

asup 2021.08.11 09:38  
[@일백년] 애매모호/치부라는 단어의 부정적 어감때문에 사족을 덧붙이자면, 어휘의 다양성은 문화적 배경에 기인합니다. 미술이 철학과 깊숙히 연간되어 있던 서양은 이념과 사상의 규명을 위해 색채어의 구분이 뚜렷해야 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고, 동양은 그럴 필요가 없었던 것이지요. 대신 농업에 산업의 근간을 두었던 탓에 서양의 Rice라는 단어가 한국에선 벼,겨,쌀,밥 등 다양한 어휘로 나타나는 것이고요.

럭키포인트 15,047 개이득

aespa카리나 2022.06.23 10:06  
[@드롭박스] 아이보리, 상아색, 누런색, 누리티티한색 연노란색 도요 ㅋㅋ

럭키포인트 11,625 개이득

버들붕어 2021.08.11 07:20  
아니

럭키포인트 13,496 개이득

기비기디잌 2021.08.11 07:40  
근데 한글 단어가 아니라

우리나라말이 맞지않나

럭키포인트 24,300 개이득

개동이 2021.08.11 08:19  
[@기비기디잌] 계란은 깊은 고민에 빠졌다.

럭키포인트 20,130 개이득

Trouble 2021.08.11 12:35  
[@기비기디잌] 우리나라 말이 한글 입니다
그중에 번역하기 힘든 단어가 있다는 글의 제목인듯 합니다

럭키포인트 14,715 개이득

Joker 2021.08.11 13:48  
[@Trouble] 우리말과 우리글(한글)은 다릅니다. 구분해야할 필요가있고 한글보다는 한국어가 조금 더 명확할거같긴하네요.

럭키포인트 7,464 개이득

기비기디잌 2021.08.11 15:39  
[@Trouble] 한글은 문저잖아요. 그럼 한글 창제전엔 우리말이 없었나용..?

중국어하고 한자는 다르듯이~
ㅋㅤ 2021.08.11 07:40  
문맥상 많이 바뀔듯

럭키포인트 15,282 개이득

고츄장 2021.08.11 08:25  
당장 사람에 대한 답답하다 나 느끼하다도 번역이 어렵던데, feel stuffy나 oily도 살짝 느낌이 다르고

럭키포인트 16,239 개이득

우씌 2021.08.11 08:32  
아랍어엔 아이고랑 거의 똑같은 거 있음ㅋㅋ

럭키포인트 26,191 개이득

국민이우습죠 2021.08.11 08:39  
[@우씌] 인샬라?

럭키포인트 6,258 개이득

우씌 2021.08.11 08:55  
[@국민이우습죠] ياالله 야알라
이게 뉘앙스가 거의 똑같음 ㅋ
aespa카리나 2022.06.23 10:07  
[@우씌] 오오오!! 야알라!! 요즘 물가 진짜 너무해 야알라....음..... 아이고 1승
한국형버핏 2021.08.11 12:44  
헐 오빠가 왜??

럭키포인트 1,553 개이득

aespa카리나 2022.06.23 10:09  
[@한국형버핏] 시스터 여자 형제, 브라더 남자형제 영어는 정확하게 가족체계를 설명할때쓰는 단어고 남에게는 시스터, 브라더를 안쓰는데 우리는 그냥 다쓰잔아요
댓글유도빌런 2021.08.12 00:15  
한국인은 자연스럽게 쓰고있지만 외국인은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들이 있지.
신호등 파란불이나 시와 분을 다르게 말하는거나 과거를 알아야 이해할수있지.

럭키포인트 21,586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