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실시간인기 > 실시간인기
실시간인기

Best Comment

BEST 1 고민  
이러나저러나 선수가 저렇게말하면 걍 받아들여라 좀ㅋㅋㅋㅋㅋㅋㅋㅋ
존나 뇌피셜 싸면서 지의견이랑 다르면 음모론 조져버리네
21 Comments
히즈베이글 2020.01.26 14:22  

럭키포인트 9,625 개이득

민트주황노랑 2020.01.26 14:25  
손흥민이 좋다면 됐다

럭키포인트 6,785 개이득

홍대독거노인 2020.01.26 14:26  
흥민이 형 인정했다

럭키포인트 7,665 개이득

민트주황노랑 2020.01.26 14:26  
물론 인터뷰에서 아뇨 가져오지마세요 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고민 2020.01.26 14:31  
이러나저러나 선수가 저렇게말하면 걍 받아들여라 좀ㅋㅋㅋㅋㅋㅋㅋㅋ
존나 뇌피셜 싸면서 지의견이랑 다르면 음모론 조져버리네

럭키포인트 8,893 개이득

헤이러 2020.01.26 14:43  
행위 자체가 악의는 없으나 옳은행동은 아닌건 맞는듯

럭키포인트 9,853 개이득

무단출입금지 2020.01.26 15:00  
[@헤이러] ??? 뭐가 잘못된건가요??

럭키포인트 1,691 개이득

램쥐썬더 2020.01.26 15:11  
[@헤이러] 나도 이런생각이 좀 드는게, 반대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뭔가 이상하다? 싶은 생각이 들거같음
만약에 중국 선수가 우리나라 운동에서 활약하는데 관중석에서 중국 국기 수십개가 펄럭이면 뭐지..? 싶을듯

럭키포인트 1,674 개이득

자아성찰 2020.01.26 17:08  
[@램쥐썬더] 우리나라처럼 한국인 선수가 절대대다수인, 한국인만 관심있는, 한국 팀끼리의 경기에, 한국 국민이 관중의 절대대다수인 경우는 그렇겠지만,
저 동네는 세계가 주목하는 세계적 클라스의 무대이기때문에 태극기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
월드컵 가면 이런저런 국기들 펄럭이는거 흔하잖아?

럭키포인트 1,649 개이득

오한별 2020.01.26 18:14  
[@헤이러] 에.. 어차피 규정상 월드컵 붉은악마들이 쓰는거마냥 존나게 큰 태극기 펄럭거리는 그런건 못합니다;; 그냥 본문 손흥민,살라처럼 관심받고싶고 응원해주고 싶으니까 들고가는거 아닐까요

럭키포인트 5,913 개이득

케찹머겅 2020.01.26 14:53  
무슨 논란인데?

럭키포인트 6,281 개이득

어깨쟁이 2020.01.26 14:57  
[@케찹머겅] 그니까 궁금

럭키포인트 4,264 개이득

인스타그램 2020.01.26 15:53  
[@케찹머겅] 태극기 들고 저기까지 가서 저러는거 망신이다
라는 의견충돌에 대한 논란정리지

럭키포인트 4,793 개이득

검정파우더 2020.01.26 15:19  
한국은 나찌 독일 이후 최고의 파시스트 국가가 아닐까 싶다.

럭키포인트 3,513 개이득

김철수철수 2020.01.26 15:59  
[@검정파우더] 아는 국가가 독일이랑 한국 밖에 없나요?

럭키포인트 1,756 개이득

소농민 2020.01.26 15:25  
다 쉿

럭키포인트 4,544 개이득

시라이시마리나 2020.01.26 15:26  
나도 프리미어리그 경기에 태극기 좀 의아했는데 흥민이가 오케이했으면 된거야

럭키포인트 1,503 개이득

오포포포 2020.01.26 15:50  
이게 왜 논란임...?

럭키포인트 6,747 개이득

모에카 2020.01.26 15:52  
국가대항전도 아니고 리그경기에서 유독 많이 나와서 그러는거라 판단됨

럭키포인트 3,195 개이득

니킥 2020.01.26 17:01  
아니 리그경기 그 동네사람들만 보는것도 아닌데 뭔ㅋㅋㅋㅋ하여튼 품위지키느라 눈치보는거 참 좋아해. 쿨병말기

럭키포인트 8,152 개이득

물류짬10년 2020.01.26 19:03  
국뽕은 애국심이나 감동같은게  아니라 열등감해소에 따른 만족감이라 생각한다.
우리나라가 유독 두유노 시리즈많은이유는 그에대한 반증이라본다.
초중고때 배우는 역사적 지식을 기반하여, 나도 모르는사이 역사에대한 열등감이 잠재적으로 쌓여왔으며,(외세에대한침략,일제강점기 등)
고도의 눈치문화와 동반되어 나보다 타인의 시선을 신경쓰는.. 더 넓게로는 우리나라 이외 타국의시선을 더 신경쓰는 형태가되고,
그 시선들로부터, 스포츠나 사회문화 과학 등등의 컨텐츠로 부각이되면서 열등감이 해소되는 형식이라고 생각해본다.

럭키포인트 2,757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