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유머 > 유머
유머

M&A 전문기업 설립, 상장 -> 32세에 1조원 자산가

불량우유 7 4391 15 0



'부의 대물림' 유명한 일본서 '32세, 자산 1조' 자수성가 억만장자 탄생

입력2023.05.16. 오후 3:25

 

일본의 32세 억만장자, 사가미 슌사쿠/사진=Forbes
정치·경제 분야에서 세습·대물림이 많은 편인 일본에서 부의 대물림 아닌 자수성가형 32살 억만장자가 탄생해 화제입니다.

이 억만장자의 성공 비결은 초고령화 사회에서 명맥이 끊길 중소기업들의 인수합병(M&A)을 중개하는 것입니다.

15일(현지시간) 포브스와 블룸버그 등 외신은 슌사쿠 사가미 M&A 리서치 인스티튜트 홀딩스 설립자의 순자산이 약 9억5000만달러(약 1조2700억원)에 달한다고 보도했습니다.

M&A 리서치 인스티튜트 홀딩스는 지난해 6월 도쿄증시에 상장한 후 주가가 300%까지 뛰었습니다.

이 회사의 지분을 72.4%를 보유한 사가미는 일본 내 억만장자 대열에 합류했습니다.

2018년 사가미가 설립한 M&A 리서치 인스티튜트 홀딩스는 AI로 기업들의 데이터를 분석해 인수합병(M&A)을 중개합니다.

주 대상은 창업자들이 고령으로 은퇴를 앞둔 매출 5억엔 내외의 알짜 중소기업들입니다.

현재 진행 중인 M&A는 500여 건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M&A 리서치 인스티튜트 홀딩스는 지난 3월까지 6개월 동안 62건의 거래를 성사했습니다.

이 기간 매출은 39억엔(384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

초고령화 사회인 일본에선 기업을 뒤이을 후계자가 없어 폐업 위기에 처한 곳이 많습니다.

M&A 리서치 인스티튜트 홀딩스에 따르면 일본에서 수익성이 높은 기업 62만개가 후계자가 없어 문을 닫을 처지입니다.

일본 정부 또한 초고령화 사회를 심각한 문제로 보고 있습니다.

앞서 같은 문제로 폐업 위기에 처한 기업들이 더 늘어날 전망이기 때문입니다.

일본 정부는 2025년까지 소유주가 70세 이상인 중소기업이 250만개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이중 절반은 회사를 대신 이끌어갈 후계자가 없습니다.

이들이 모두 문을 닫으면 총 65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일본 국내총생산(GDP)은 22조엔(216조원)의 손실을 볼 것으로 관측됩니다.

사가미는 초고령화에 따른 기업의 존폐 문제를 사업 아이템으로 삼았습니다.

 

...


M&A 담당자들이 통상 은행을 통해 거래를 진행하는 것과 달리 M&A 리서치 인스티튜트 홀딩스는 자체 구축한 방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M&A를 중개합니다.

빠르게는 6개월 만에도 거래가 성사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M&A에 사가미가 관심을 가졌던 이유는 이미 과거에 이런 문제를 간접적으로 겪었기 때문입니다.

사가미의 할아버지는 오사카에서 일평생 부동산 중개업소를 운영했지만, 후계자를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설상가상으로 인수 합병도 잘 성사되지 못하면서 할아버지의 은퇴와 함께 중개업소는 폐업을 하게 됐습니다.

이 과정에서 사가미는 M&A의 중요성을 깨달았다고 알려졌습니다.

사가미가 주목한 것은 기존의 M&A 과정이 상당 부분 비효율적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이에 대해 포브스는 "일본의 기업 중 약 99%가 중소기업인데, 제대로 된 M&A를 하지 못해 고사하는 경우가 많다"며 "사가미는 바로 이 점을 파고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사가미는 2018년 M&A 리서치 인스티튜트 홀딩스를 도쿄에 세웠고, 이 회사는 그야말로 대박을 터트렸습니다.

M&A를 통해 도약을 꿈꾸던 중소기업들이 앞다퉈 그를 찾아왔기 때문입니다.

성장세가 지속되면서 그는 자신의 회사를 도쿄증시에 상장시켰고, 그 지분의 73%를 보유하며 억만장자가 됐습니다.

억만장자는 그에게 새로운 시작이라고 전해졌습니다.

포브스에 따르면 사가미의 현재 관심사는 M&A를 넘어 자산운용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포브스는 "(M&A를 통해) 갑자기 큰 수익을 창출한 뒤가 오히려 중요하며, 자산을 올바르게 증식하는 바가 현재의 관심사이자 기업 경영 방향"이라고 전했습니다.

 

김누리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nu11iee98@gmail.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57/0001742603

 

-----

 

M&A가 상당히 어려운 일인데 어린 나이에 이런 비즈니스를 구축해서 상장까지 했다니.. 놀라울 따름임..;;;

 

한국에서도 비슷한 고민을 하는 경영자가 많을 것이고, 이런 서비스는 어쩌면 한국에서 역시 가능할 것 같기도 함..


7 Comments
친목밴 2023.05.17 11:42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빈약하다는 이미지가 강한데…

럭키포인트 29,835 개이득

슬픈페페 2023.05.17 12:50  
[@친목밴] 대기업 노예지 뭐 기술뺏기고 단가 뺏기고

럭키포인트 25,144 개이득

복복 2023.05.17 11:52  
별명 0.01mm 였을 듯

럭키포인트 20,179 개이득

rang 2023.05.17 16:58  
[@복복] 사가미 데스네i?

럭키포인트 28,842 개이득

우넘 2023.05.17 17:58  
[@복복] 하아아앗 초박쿤-☆ 절정하메다요옷

럭키포인트 9,610 개이득

대왕 2023.05.17 22:35  
유튜브에서
이분 본듯

중소기업 찾아다니며 합병하고
전 ceo는 고문으로 둬서 계속 현업 유지하게 하는걸로

럭키포인트 17,163 개이득

1q2w3e4r 2023.05.18 00:21  
한국은 안될거같은데

럭키포인트 23,478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