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유머 > 유머
유머

Best Comment

BEST 1 빠바로티  
뭘알아야 댓글도 달고 할텐데
BEST 2 ㅇㅇㅇㅇ  
내가 쉽게 설명해볼께

그니까 우리가 구름과자 먹을때 연기가 확 퍼지잖아 연기가 뭉게뭉게 연기입자들이 움직이잖아
이러한 것도 작은 입자들이 움직일때는 어느정도 규칙성이 있어

로버트 브라운이라는 식물학자 아저씨는 식물들을 허구헌 날보다가
날리는 꽃가루가 물위에 떨어졌는데
물속에 있을때 움직임을 봤는데 아무도 안 건들였는데도 가루가 지 혼자 살아있듯 계속 움직이는 걸 본거야.
무한 진동하듯 움직임 그걸 자기 이름 붙여서 바로 브라운 운동이라고 말했는데
꽃가루뿐만 아니라 무생물인 고운 쇳가루도 그렇게 혼자서 계속 움직이는거야

결국 이것은 작은 입자들이 움직임을 말하는거지
그때 과학자들은 지들 혼자서 계속 막 움직이는게 이게 다~~ 물속에 열의 대류때문에 막 움직이는거야 했다가
아인슈타인이 공식화 한거야
왜 그렇게 작은 입자들이 끊임없이 지랄하는지 수식화 해줌. 액체나 기체등의 분자들의 움직임을 수학적으로 설명한거지
이게 원자라는게 있다는 걸 입증하는 계기도 된거고

아인슈타인은 꽃가루처럼 좀 크고 물처럼 단일 액체에선 설명이 되는데
입자가 아주 작고 혼합액체에서는 이러한 공식이 성립이 안되었는데
이 어려운걸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해낸거~
BEST 3 말술소녀밍키  
설명이 좀 더 필요한거 같아서 다른데서 퍼옴요.

꽃가루가 물에 떠서 끊임없이 움직이는 것과 같은 불규칙한 운동을 브라운 운동 혹은 열운동이라고 한다. 아인슈타인은 열운동하는 입자들의 이동 양상을 예측할 수 있는 방정식을 제시했다. 이 식은 입자의 크기가 크고 액체가 균일할 때는 정확했지만 여러 분자나 입자가 섞여 있는 복잡 액체에서는 맞지 않았다. 복잡 액체에서 입자 열운동을 설명하는 것은 현대 통계물리학의 난제 중 하나였다.

연구팀은 복잡한 액체 속 입자의 이동을 일관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주변의 미시적 환경에 따라 운동성이 바뀌는 무작위 운동입자 모델을 제안했다.

복잡한 액체 속 입자 운동은 시간에 따라 양상이 변화하는데, 그 양상이 복잡 액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비슷했다. 입자들은 아주 짧은 시간 동안은 총알처럼 관성운동을 하지만, 곧 매우 느린 아확산운동과 확산운동을 차례로 한다. 시간에 따라 입자의 이동거리가 정규분포에서 벗어나는 정도는 늘어나다 다시 줄어든다. 이 현상은 아인슈타인의 브라운 운동 이론이나 그 후 등장한 많은 이론들로도 설명할 수 없었다.

연구팀은 환경에 따라 운동성이 변하는 무작위 운동입자 모델로부터 아인슈타인과 다른 새로운 수송 방정식을 얻었고, 이 방정식의 정확한 해가 세포 속 환경, 고분자 유체, 과냉각수, 이온액체 등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비정규분포 수송 현상을 정확하고 일관되게 설명하는 것을 보였다.

성재영 교수는 “이 연구는 통계물리학 분야의 난제인 복잡 유체 내 분자 열운동과 수송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방정식과 해를 찾아낸 것이다”라며, “세포 내 효소와 생체 고분자들의 열운동을 통해 일어나는 다양한 생명 현상들을 물리화학적으로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우선 응용할 계획이다”라고 후속연구 계획을 밝혔다.

이해함?
25 Comments
빠바로티 2019.06.14 10:17  
뭘알아야 댓글도 달고 할텐데

럭키포인트 4,684 개이득

덴마 2019.06.14 11:20  
[@빠바로티] 노래라도 불러봐

럭키포인트 1,319 개이득

오리배 2019.06.14 10:17  
와 뭔지 모르겠다...
암튼 대단한거지?

럭키포인트 2,533 개이득

고기꾼 2019.06.14 10:19  
와 이걸 해내네~ 와~ 모르겠다

럭키포인트 309 개이득

몰라도아는척 2019.06.14 10:20  
그런것이였구나

럭키포인트 1,929 개이득

개짋왕 2019.06.14 10:22  
거봐 내말이 맞잖아

럭키포인트 1,670 개이득

EXID 2019.06.14 10:28  
젠자앙! 믿고있었다구!

럭키포인트 3,503 개이득

히스레저 2019.06.14 10:28  
주모!!! 메뉴판이 왜이리 어렵냐!

럭키포인트 1,231 개이득

Barbour 2019.06.14 10:34  
사실 살았던 시기를 생각하면 '아인슈타인도 못 풀었던'은 슬픈말같다

럭키포인트 1,722 개이득

말술소녀밍키 2019.06.14 10:39  
설명이 좀 더 필요한거 같아서 다른데서 퍼옴요.

꽃가루가 물에 떠서 끊임없이 움직이는 것과 같은 불규칙한 운동을 브라운 운동 혹은 열운동이라고 한다. 아인슈타인은 열운동하는 입자들의 이동 양상을 예측할 수 있는 방정식을 제시했다. 이 식은 입자의 크기가 크고 액체가 균일할 때는 정확했지만 여러 분자나 입자가 섞여 있는 복잡 액체에서는 맞지 않았다. 복잡 액체에서 입자 열운동을 설명하는 것은 현대 통계물리학의 난제 중 하나였다.

연구팀은 복잡한 액체 속 입자의 이동을 일관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주변의 미시적 환경에 따라 운동성이 바뀌는 무작위 운동입자 모델을 제안했다.

복잡한 액체 속 입자 운동은 시간에 따라 양상이 변화하는데, 그 양상이 복잡 액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비슷했다. 입자들은 아주 짧은 시간 동안은 총알처럼 관성운동을 하지만, 곧 매우 느린 아확산운동과 확산운동을 차례로 한다. 시간에 따라 입자의 이동거리가 정규분포에서 벗어나는 정도는 늘어나다 다시 줄어든다. 이 현상은 아인슈타인의 브라운 운동 이론이나 그 후 등장한 많은 이론들로도 설명할 수 없었다.

연구팀은 환경에 따라 운동성이 변하는 무작위 운동입자 모델로부터 아인슈타인과 다른 새로운 수송 방정식을 얻었고, 이 방정식의 정확한 해가 세포 속 환경, 고분자 유체, 과냉각수, 이온액체 등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비정규분포 수송 현상을 정확하고 일관되게 설명하는 것을 보였다.

성재영 교수는 “이 연구는 통계물리학 분야의 난제인 복잡 유체 내 분자 열운동과 수송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방정식과 해를 찾아낸 것이다”라며, “세포 내 효소와 생체 고분자들의 열운동을 통해 일어나는 다양한 생명 현상들을 물리화학적으로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우선 응용할 계획이다”라고 후속연구 계획을 밝혔다.

이해함?

럭키포인트 3,871 개이득

까악까악 2019.06.14 10:54  
[@말술소녀밍키] 정말 흥미로운 이론이군요 ~

럭키포인트 745 개이득

ㅑㅣㄱㅅㄲㅇ 2019.06.14 10:59  
[@말술소녀밍키] 아니 읽기가 싫음

럭키포인트 873 개이득

나꼬나꼬 2019.06.14 10:59  
[@말술소녀밍키] 이과를 갔어야돼..... 한글인건 알겠다...

럭키포인트 3,678 개이득

크리스마스 2019.06.14 11:14  
[@말술소녀밍키] 문과라서 글은 잘읽히는데 이해는 하나도 안되네 젠장

럭키포인트 1,176 개이득

덴마 2019.06.14 11:22  
[@말술소녀밍키] 본문에 있는 내용인뎅...
먼소래담 2019.06.14 11:45  
[@말술소녀밍키] 한글이 진짜 좋은게 1도 모르는말인데 읽을수는 있게 해주네 ㅋㅋㅋ

럭키포인트 1,050 개이득

천우희 2019.06.14 10:59  
이과 극혐

럭키포인트 426 개이득

삼성 2019.06.14 11:00  
와 이렇게되면 향후 물리학계에 지각변동은 물론이거니와 산업 발전에 영향이 있겄구만

럭키포인트 4,047 개이득

ㅇㅇㅇㅇ 2019.06.14 11:03  
내가 쉽게 설명해볼께

그니까 우리가 구름과자 먹을때 연기가 확 퍼지잖아 연기가 뭉게뭉게 연기입자들이 움직이잖아
이러한 것도 작은 입자들이 움직일때는 어느정도 규칙성이 있어

로버트 브라운이라는 식물학자 아저씨는 식물들을 허구헌 날보다가
날리는 꽃가루가 물위에 떨어졌는데
물속에 있을때 움직임을 봤는데 아무도 안 건들였는데도 가루가 지 혼자 살아있듯 계속 움직이는 걸 본거야.
무한 진동하듯 움직임 그걸 자기 이름 붙여서 바로 브라운 운동이라고 말했는데
꽃가루뿐만 아니라 무생물인 고운 쇳가루도 그렇게 혼자서 계속 움직이는거야

결국 이것은 작은 입자들이 움직임을 말하는거지
그때 과학자들은 지들 혼자서 계속 막 움직이는게 이게 다~~ 물속에 열의 대류때문에 막 움직이는거야 했다가
아인슈타인이 공식화 한거야
왜 그렇게 작은 입자들이 끊임없이 지랄하는지 수식화 해줌. 액체나 기체등의 분자들의 움직임을 수학적으로 설명한거지
이게 원자라는게 있다는 걸 입증하는 계기도 된거고

아인슈타인은 꽃가루처럼 좀 크고 물처럼 단일 액체에선 설명이 되는데
입자가 아주 작고 혼합액체에서는 이러한 공식이 성립이 안되었는데
이 어려운걸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해낸거~

럭키포인트 2,204 개이득

말술소녀밍키 2019.06.14 11:08  
[@ㅇㅇㅇㅇ] 와 바로 이해 개꿀 !
스팅 2019.06.14 11:11  
일단 주모 오라고해봐

럭키포인트 556 개이득

사랑합니다 2019.06.14 11:20  
브라우니 먹고싶다

럭키포인트 3,493 개이득

덴마 2019.06.14 11:23  
노벨상 각입니까?
진세 2019.06.14 11:33  
띵하네..

럭키포인트 757 개이득

비질란테 2019.06.14 13:49  
아 부랄떨려

럭키포인트 513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