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유머 > 유머
유머
12 Comments
딱딱 2023.11.15 08:12  
코인투자랑 다를게 뭐임

럭키포인트 12,135 개이득

친목밴 2023.11.15 08:46  
[@딱딱] 코인은 MZ들이 주로 물려있고 부동산은 틀딱들이 많이 물려 있음

럭키포인트 3,100 개이득

딱딱 2023.11.15 08:55  
[@친목밴] 한탕해보겠다 마인드
뭉치 2023.11.15 13:28  
[@친목밴] 그거도 아님 중장년층 부동산은 투자목적이아니고 거주목적으로 가지고 있는게 대부분이고 부동산이 폭등할때랑 비트코인 떡락할때가 비슷한 시기라 비트코인에서 뺀돈 부동산에 들어간 청년층이 많음 그때 마침 코로나로 비대면대출로 대출이 간편해지면서 대출받아 부동산에  투자했는데 고금리라 못버티는거

럭키포인트 12,206 개이득

친목밴 2023.11.15 14:23  
[@뭉치] 거주목적이 아닌 수익 목적으로 여러채 보유하거나 상가 같은거 투자하는거 말한거였습니다

젊은 사람들의 부동산 투자는 비주거형태의 투자였나요? 2030이 임대소득을 위해 다주택 보유 했단 내용도 없고, 오를걸 기대하고 샀다는건 다른말로 더오르면 집 못살것 같으니 지금이 제일 싸다고 생각하고 구매한 경우도 많다고 보입니다.

왜 중장년층의 구매는 실주거 목적이고 2030은 투자 목적이 크다고만 프레임을 짜는지

실질적으로 투기성 부동산 매매는 연령별 부동산 소유 비중을 봐도 중장년층이 주를 이룰텐데요.

코인 투자는 문제고 부동산 투자는 괜찮다는게 단순히 코인의 불명확함 보다는 그곳에 투자된 자금의 유형의 영향에 크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경제를 책임져줄 2030의 부채는 개인의 불찰이고 부동산 pf 만기 연장을 연달아 해 주는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게 점 우습게 느껴져서 쓴겁니다.
뭉치 2023.11.15 15:05  
[@친목밴] 당연히 부동산투기비율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중장년층이 높음 자산이 기본적으로 있으니깐 문제는 최근 부동산폭등때 20대30대 투기비율이 엄청 올랐단거임 이들은 보유자산을 굴리는게 아니고 대출 다 땡기고 영끌해서 올라탄게 대부분이고 실거주목적이아닌 흔히말하는 갭투자를 해서 부동산 구매한후 전세놓고 전세금 굴리면서 부동산이 더 폭등하길 기다리다가 고금리되면서 못견디는거임
친목밴 2023.11.15 15:48  
[@뭉치] 갭투자하다 물린 중장년층이 더 많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찾아 보니까 30대는 2012년 부터 쭉 감소 추세입니다. 부동산 투자 비중이 높다고 보기는 힘들것 같네요



매매 호수 기준으로 봐도 전 연령대에서 2020년에 피크치고 감소하고 있고, 전국은 올해, 서울은 2019년도 부터 30대가 40대 매매를 추월했지만, 결혼 적령기를 고려 하면 당연한 결과로 보여집니다.

특정 시기에 특정 연령대의 투자상품 갈아타기 했다는 결론은 성급하다고 생각 되며, 2030이 부동산 투자에 중장년층 보다 많이 물려 있다는 결론도 내기도 힘들것 같네요
뭉치 2023.11.15 17:57  
[@친목밴]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집값 폭등의 최고점 시기에 20대 주택구매자는 5993명에서 3만 9484명으로 7배 가까이 늘어났다. 같은 시기에 전체 주택구매자가 약 3배 정도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20대가 매우 급격하게 주택시장에 뛰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흥미로운 것은 20대의 자금조달 방식이었다. 우선 20대는 일명 갭투자, 즉 세입자의 임대보증금 활용이 27.9%로 가장 비중이 컸다. 이는 전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수치이며, 전체 평균이 17.5%인 것에 비하면 그 차이도 꽤 크다. 20대 내에서 임대 목적으로 집을 구매한 비중이 높은 것과 연결되는 지점이다. 그 외 20대의 주택구매자금 조달 방식 비중은 주택담보대출(22.3%), 금융기관예금(13.4%) 순이었다.

반면에 자기자금 투입과 대출은 상대적 적었다. 자기자금은 현금, 예금, 주식채권매각대금, 기존 부동산처분대금 등을 의미한다. 자기자금을 전혀 투입하지 않고 집을 구매한 비중이 12.3%로 이는 30대(4.6%)와 전체 평균(5.6%)보다 2배 이상 많다. 또한 대출을 전혀 받지 않고 집을 구매한 비중이 41.1%로 30대(25.8%)에 비해 높았다.
친목밴 2023.11.15 19:19  
[@뭉치] [검증결과] 우리나라 20대의 주택대출이 많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최근 5년간 20~30대 부채가 빠르게 늘어난 건 주로 전·월세 보증금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주택 구매용 대출 증가가 대세라고 볼 수는 없다. 또 최근 3년간 집을 구매한 2030세대 중 3억원 이상 대출을 받은 '영끌족'은 전체의 10~2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님이 갖고온 원문 결론에도 나와 있습니다, 실제로 부동산 투자를 목적으로 한 2030의 비중은 그리 높지 않다고요. 전채 구매재 중 비중이 10프로도 안되는 20대 구매자가 부동산에 물려있는 주 연령층이다? 퍼오신 글에 이미 반대되는 결론이 나왔는데요?

https://www.ekoreanews.co.kr/news/articleViewAmp.html?idxno=64385
뭉치 2023.11.15 22:11  
[@친목밴] 계속 같은말 하는거같지만
말하신대로 중장년층의 부동산투기가 많은건 예전부터 그래왔던 사실이고 청년층의 대출이유가 예전부터 생활비나 월세 전세비용 위한 대출인거도 사실임
그런데 봐야할건 몇년간 청년층의 부동산 투기비율이 몇배 늘어난거와 주택구매를 위한 대출비율이 늘어난거도 사실임
그리고 인구가 20 30대가 각 600만대이고 40 50대가 800만대임 세대간 인구격차는 계속 벌어지고있는데 비율차이가 오히려 줄고있으면 실제적으로 그 차이는 더 심할거임
친목밴 2023.11.15 22:44  
[@뭉치] …그래서 제가 부동산은 중장년층이 많이 물려 있다고 한겁니다
다니엘 2023.11.15 09:20  
[@딱딱] 코인 실체 X
집 실체 O
이정도 차이? 집은 그래도 사용이 가능하니까

럭키포인트 14,093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