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유머 > 유머
유머

지난해 공기업 평균 연봉 6천932만원…1억원 넘는 기관 14곳

독심슐사 20 2120 2 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12366028

신입사원 초임 평균은 3천592만원, 기관장 평균 연봉은 1억7천998만원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전경
[UN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연합뉴스) 차지연 곽민서 기자 = 지난해 공공기관 직원 평균 연봉이 7천만원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규직 평균 연봉 1위인 울산과학기술원(UNIST)을 포함해 1억원 넘는 연봉을 받는 기관은 14곳이었다.

30일 기획재정부의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350개 공공기관(부설기관 포함)의 정규직 직원 1인당 평균보수는 6천931만9천원이었다.

이는 2019년의 6천814만6천원보다 1.7% 증가한 수치다. 정부는 지난해 공공기관 직원 보수 증가율을 2.8% 이내로 유지하라고 지침을 내렸는데 실제 증가율은 지침보다 낮았다.

기관 유형별로 보면 공기업 평균 연봉이 8천155만5천원으로 가장 높았고 기타공공기관이 6천850만3천원, 준정부기관이 6천681만4천원이었다.

지난해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기관은 UNIST로 정규직 직원 1인당 1억1천724만9천원이었다. UNIST는 2019년에도 평균 연봉 1위 기관이었다.

2위는 한국투자공사(KIC)로 1억1천423만5천원을 기록했다. KIC는 2019년 평균 연봉 3위에서 2위로 한 계단 올랐다.

이어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1억1천263만6천원, 한국산업은행이 1억1천199만9천원, 한국예탁결제원이 1억1천102만7천원으로 뒤를 이었다.

광주과학기술원(1억826만6천원), 중소기업은행(1억712만5천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1억576만6천원), 한국수출입은행(1억451만4천원), 한국화학연구원(1억348만6천원)도 평균 연봉 상위 10개 기관에 이름을 올렸다.

KDI국제정책대학원(1억199만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1억147만9천원), 한국기계연구원(1억36만9천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1억13만1천원)까지 평균 연봉이 1억원 넘는 기관은 총 14개였다.

평균 연봉이 1억원 넘는 기관은 2019년 12개에서 2개 늘었다.

지난해 공공기관 신입사원 초임 평균은 3천592만2천원이었다.

신입사원 초임이 가장 많은 기관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으로 5천263만7천원이었다.

중소기업은행(5천180만7천원), 한국원자력연구원(5천169만원), 서울대학교병원(5천78만1천원), 한국산업은행(5천11만7천원) 등 신입사원 초임이 5천만원 이상인 기관이 5개였다.

Best Comment

BEST 1 유동닉  
[@TCRS] 기술원이나 연구소쪽은 고급인력일텐데  돈 많이 주는게 맞지않나? 이공계쪽에 투자해야지
BEST 2 우기명  
받을 만한 곳에서 받는 걸 어떻게든 분란 조장하고 까내리려고 저딴 기사 쓰는거 역겹네
20 Comments
TCRS 2021.05.12 09:33  
공기업에서 연봉을 저렇게많이 가져가는게 맞냐?
세금을 쟤들 급여로 다 쓰는느낌이다

럭키포인트 18,530 개이득

유동닉 2021.05.12 09:37  
[@TCRS] 기술원이나 연구소쪽은 고급인력일텐데  돈 많이 주는게 맞지않나? 이공계쪽에 투자해야지

럭키포인트 22,336 개이득

stormbolt 2021.05.12 09:39  
[@유동닉] 기술직이나 연구직들이 많이 받아가는건 상관없지만

문제는 낙하산 인사로 오는 윗대가리들이 제일 많이 받아 간다는거...

럭키포인트 27,473 개이득

마지노 2021.05.12 09:43  
[@stormbolt] ㄹㅇ 낙하산들이 이유없이 감사 이사 , 기관장, 비상임 이사 등 꿰차서

돈 낭비하는 주요원징 중 하나임. 전문 분야도 아닌데 억지로 당론 및 정부기조랑 궤 같이한다고

집어넣다가 ㅅㅂ

럭키포인트 20,101 개이득

TCRS 2021.05.12 09:40  
[@유동닉] 연구지원비를 빵빵하게 주는거랑은 별개로 보는데..틀린생각인가?
유동닉 2021.05.12 09:42  
[@TCRS] 기초과학연구는 기업에서 투자요인이적으니까 나라에서 육성해야되는데 보수를 적게주면 외국가거나 다른일하겠죠
TCRS 2021.05.12 09:44  
[@유동닉] 그렇네요~ 보수라도 잘 줘야 유출이 덜하겠네여.
콘샐 2021.05.12 10:22  
[@유동닉] 근데 그런 곳들도

신입이나 경력직으로 들어온 사람들은  기준연봉 받고
오래있던사람들은 호봉쳐서 존나받고있음

예를들어
15년차 박사 연봉이 1억이라고 쳤을때
지금들어오는 박사들은 15년차때
절대 1억 넘을 수 없는구조임

럭키포인트 12,223 개이득

유동닉 2021.05.12 10:28  
[@콘샐] 공기업들도 연봉제로 바뀌고 인건비 존나 쪼아서 문제임 많이 줄만한데는 많이 줘야되는데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 2021.05.12 09:39  
많이 받을만한데서 받는거 같은데

럭키포인트 28,787 개이득

도로니 2021.05.12 09:45  
근데 저거 연봉에 성과급은 뺀거지???
쟤네 성과급도 짱짱하게 나오지않음??
프레시미트 2021.05.12 17:01  
[@도로니] 연봉이란말이 성과급때문에 있는건데...

다 합친거임

럭키포인트 12,087 개이득

우기명 2021.05.12 10:05  
받을 만한 곳에서 받는 걸 어떻게든 분란 조장하고 까내리려고 저딴 기사 쓰는거 역겹네

럭키포인트 22,401 개이득

갓트리버 2021.05.12 10:42  
연구원들은 많이 받을만 하지

럭키포인트 16,933 개이득

아쭈 2021.05.12 10:48  
평균 연봉은 의미가 없습니다.
현 연구원 재직 중인데 퇴직 전 베이비 부머 세대들이 인력구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신입 직원들이 많이 들어오는 상황입니다.
중간 40대 중반에서 50대 중반까지의 세대가 적은 상황이죠.
그래서 퇴직 전(임금피크 인력 제외) 인력 구조가 많기 때문에 평균 연봉은 높게 책정됩니다.

럭키포인트 14,200 개이득

빠다코코낫 2021.05.12 10:53  
나는 정출연은 아니고, 민간생산기술연구소 중 하나인 한국xxx연구원에 근무중인데
부서장급은 1억 넘기고, 그 밑에 과제 많이 따오는 정직원 팀장들도 1억 넘김

본인들이 따오는 과제마다 인센티브가 나오기 때문에 꽤 많은 부분을 차지함

난 석사졸업한 위촉직인데도 과제 인센티브 때문에 세전5천 넘김. 정직원들은 더 어마어마하게 받지

과제 안 따오는 원장급들도 많이 받지만, 그들이 산업부와 같은 곳에서 오기 때문에 과제 진행이나 감사에서 좀 편한 게 있고..

무튼 많이 받는 이유 중 하나는 그만큼 과제를 겁나 따왔기 때문

럭키포인트 19,017 개이득

뷔뷔 2021.05.12 11:06  
공기업이 적자가 나는데 성과급주는게 개같음 이게 말이되는 소리인가

럭키포인트 27,848 개이득

딕고 2021.05.12 11:33  
[@뷔뷔] 개집에서 봤던 댓글이 있는디 그게 성과급이 원래 줘야할 월급 안주고 1년 이자 받은담이 준다는 글이었어영.

럭키포인트 12,965 개이득

안티푸라민 2021.05.12 12:14  
적자가 나는데 성과급을 준다고 마냥 욕할건 아닌게 적자이유가 기업에 있지 않은 경우도 있어서 그렇지. 서교공도 적자 엄청난데 노인들은 계속 무료료 이용하고 스크린도어 같이 안전시설 투자는 계속되니까.
문제는 성과평가가 납득이 안가는거지 누가봐도 개못했는데 a다 b다 하면서 성과급 타가는데

럭키포인트 17,163 개이득

phariha 2021.05.12 12:40  
아직도 이런기사가 나오네

럭키포인트 1,935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