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유머 > 유머
유머

애플 시네마틱 기술 보소 ㄷㄷ

파오리퍄퍄 26 8350 15 0


시네마틱 모드 OFF



시네마틱 모드 ON



이게되네..
 
사실 이정도는 안드로이드에서도 유사하게나마
 
따라할 수 있지만 (이정도는 퀄리티는 절대 아니고)



이게 ㄹㅇ루다가 미쳤음 ㅋㅋㅋ

걍 미쳤음 

초점이동이 이렇게 깔끔하게 됨








심지어 사후에 이 초점을 변경할 수도 있음

그 부분에 대한 설명 글은 여기보셈

 



 

Best Comment

BEST 1 썸퍼  
[@쿠팡친구] 얘네는 디자인 테크 가릴꺼 없이 개쩌는 친구들이었는데 무슨?
BEST 2 그로밋  
[@쿠팡친구] 애플이 안드랑 다르게 사양을 너무 짜게 주는게 문제이지
기술력 자체는 원래 쩔던 애들임

또 기술력이 좋으니까 사양이 낮아도 스마트폰이 오래 됐는데 현역으로 뛰는게 가능

진짜 램 ㅅㅂ 원가로 치면 뭐 얼마나 차이 난다고..
차라리 가겨 몇 만원 더 올리고 램 좀 더 올리라고 제발.. 애플 ㅅㅂ
BEST 3 검정파우더  
디지털 영상이라는 게 프레임의 압축이고 현재 모든
디지털 영상은 I-frame을 기준으로 압축을 하는데
저장 매체의 문제가 없다면 사실 화질은 복원은 큰 기술이 아님,
물론 I-frame의 손실률이 높다면 힘들지만 그게 아니라면
어떤 화면의 화질이라도 또렷하게 하는 게 가능함,
쉽게 말한다면 첫 화면, 첫 화면이 또렷하면 다 가능,
과거에도 가능한 기술이었음,

영상을 찍으면 첫 화면을 찍은 후 그걸 기준으로
움직임에 따라 기존 프레임에서 변화된 부분만
덧하는데 그걸 DCT 변환이라함, 이렇게 변한 걸
P-frame라하고,

이렇게 P-frame가 생기면 이후 예측에 의한 B-frame를
만듦, 과거 이 계산이 틀려 깍뚜기가 생기든지 멈춤 또는
스크럼블이 발생하기도 했음,

뭐 이게 중한 게 아니라, mpeg이 설립되고 표준화된
40 년전에도 충분히 가능했던 기술,
전송률과 저장 장치 때문에 포기했었지,
이렇게 발전될 예상해서 인지 헐리웃 영화들은
I-Frame 소위 key frame 화면들은 찐하게 찍어놨음
그래 이 기술은 에플 독점이 될 수도 없음
라이선스 사는 거 극혐하는 에플이 뭔ㅋㅋㅋ
26 Comments
듀얼모멘텀 2021.09.23 20:24  
애플 풀매수?

럭키포인트 3,824 개이득

하엠봉 2021.09.23 20:25  
[@듀얼모멘텀] ㄱㄱㄱ

럭키포인트 22,356 개이득

쿠팡친구 2021.09.23 20:30  
애플이 원래디자인으로 장사하더니
언제부턴가 디자인 개나주고 삼성처럼 기술력으로 승부보기 시작하네
제발 다필요없으니까 이쁘게만 만들어줘...
ㅈ같은 인덕션에 노치좀 제발...

럭키포인트 9,829 개이득

썸퍼 2021.09.23 20:54  
[@쿠팡친구] 얘네는 디자인 테크 가릴꺼 없이 개쩌는 친구들이었는데 무슨?

럭키포인트 6,042 개이득

쿠팡친구 2021.09.24 00:13  
[@썸퍼] 11부터는 외형이 멈춰있는 느낌이라...
그로밋 2021.09.23 21:01  
[@쿠팡친구] 애플이 안드랑 다르게 사양을 너무 짜게 주는게 문제이지
기술력 자체는 원래 쩔던 애들임

또 기술력이 좋으니까 사양이 낮아도 스마트폰이 오래 됐는데 현역으로 뛰는게 가능

진짜 램 ㅅㅂ 원가로 치면 뭐 얼마나 차이 난다고..
차라리 가겨 몇 만원 더 올리고 램 좀 더 올리라고 제발.. 애플 ㅅㅂ

럭키포인트 10,980 개이득

공대청년 2021.09.23 21:08  
[@쿠팡친구] 삼성처럼 기술력이라는데서 개념이 좀 다름
삼성의 기술력은 하드웨어고
애플의 기술력은 소프트웨어지
근데  최근 자체개발칩셋보면 하드웨어도 미치긴했지

럭키포인트 21,825 개이득

쿠팡친구 2021.09.23 21:17  
[@공대청년] ㅇㅇ 기능적인 요소를 기술력이라고 표현해림 ㅋㅋ
ㅁㄴㅇㄹ2 2021.09.24 00:02  
[@쿠팡친구] 안드로이드 성능은 2년이상 뒤쳐졌어요.

럭키포인트 14,213 개이득

바른말 2021.09.24 03:04  
[@쿠팡친구] 애플이 원래 디자인장사한다는건 님한테 첨 들어봄
최고성능 기술력이 뒷받침 된 예쁜디자인인데

럭키포인트 5,947 개이득

씹상남자 2021.09.23 20:33  
쿡형 제발 12프로맥스에도 업뎃해주면 안돼..? 우리 아직 1년도 안 된 사이잖아..

럭키포인트 14,210 개이득

콘샐 2021.09.23 21:03  
[@씹상남자] 하드웨어가필요한버 아닌가

럭키포인트 15,191 개이득

정성 2021.09.23 20:34  
갤럭시 s21울트라 카메라땜에 바꾼건데
빨리 업뎃해나라ㅠㅠ

럭키포인트 26,355 개이득

대통령 2021.09.23 20:34  
기술의 애플

럭키포인트 3,497 개이득

웃는남자 2021.09.23 20:41  
브이로그 개꿀~

럭키포인트 16,048 개이득

연필 2021.09.23 20:50  
작은화면으로 볼때는 우와~ 소리나오는데 큰화면으로 보면 역시.. 폰은 폰이더라

럭키포인트 26,259 개이득

신호등싢 2021.09.23 21:00  
깔끔하지는 않는데 괜찮네

럭키포인트 14,848 개이득

이예이 2021.09.23 21:02  
사후에 초점이동이 된다고? 예전에 라이트로라고 하는 카메라가 그런기술 있었는데 비슷한건가

럭키포인트 16,345 개이득

검정파우더 2021.09.23 21:11  
디지털 영상이라는 게 프레임의 압축이고 현재 모든
디지털 영상은 I-frame을 기준으로 압축을 하는데
저장 매체의 문제가 없다면 사실 화질은 복원은 큰 기술이 아님,
물론 I-frame의 손실률이 높다면 힘들지만 그게 아니라면
어떤 화면의 화질이라도 또렷하게 하는 게 가능함,
쉽게 말한다면 첫 화면, 첫 화면이 또렷하면 다 가능,
과거에도 가능한 기술이었음,

영상을 찍으면 첫 화면을 찍은 후 그걸 기준으로
움직임에 따라 기존 프레임에서 변화된 부분만
덧하는데 그걸 DCT 변환이라함, 이렇게 변한 걸
P-frame라하고,

이렇게 P-frame가 생기면 이후 예측에 의한 B-frame를
만듦, 과거 이 계산이 틀려 깍뚜기가 생기든지 멈춤 또는
스크럼블이 발생하기도 했음,

뭐 이게 중한 게 아니라, mpeg이 설립되고 표준화된
40 년전에도 충분히 가능했던 기술,
전송률과 저장 장치 때문에 포기했었지,
이렇게 발전될 예상해서 인지 헐리웃 영화들은
I-Frame 소위 key frame 화면들은 찐하게 찍어놨음
그래 이 기술은 에플 독점이 될 수도 없음
라이선스 사는 거 극혐하는 에플이 뭔ㅋㅋㅋ

럭키포인트 11,584 개이득

가나다fkfkfk 2021.09.23 21:41  
[@검정파우더]

럭키포인트 18,501 개이득

다비치 2021.09.23 21:21  

디자인만 남았다

럭키포인트 28,192 개이득

카밀라카베요 2021.09.23 21:25  
사람제외 뒷배경이 흐려지는건가여?

럭키포인트 7,147 개이득

hprp 2021.09.23 22:30  
[@카밀라카베요] 촬영되는 영상 속 인물이 시선을 어디에 두냐에 따라서 초점이 이동되고
인물이 이동하면 조첨이 따라감

럭키포인트 27,720 개이득

dkslddlsks 2021.09.23 23:38  
[@카밀라카베요] dslr처럼 아웃포커싱 되는거라 생각하면 돼여

럭키포인트 13,528 개이득

헬무트랭 2021.09.23 22:57  
근데 일반사용자중에서 저 기능쓸사람 몇프로나될까싶네 ㅋㅋ

럭키포인트 7,123 개이득

ㅣㅣ 2021.09.24 00:09  
저거 고화질로 보니까 경계면 흐릿하게 되는거 완전 대충이던데

럭키포인트 20,181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