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유머 > 유머
유머

수상할 정도로 수상경력이 많은 프로게이머.jpg

불량우유 11 6304 17 0
 


워크래프트3 개인 리그 (온라인 2티어 대회 다수 제외)

 


2003년

 

2003 손오공배 MBC게임 프라임 리그 II 우승

 

 

2004년

 

2004 손오공배 MBC게임 프라임 리그 III 준우승

 

2004 WCG 대표 선발전 3위

 

 

2005년

 

2005 온게임넷 워3 리그 준우승

 

2005 WEG 2005 워크래프트3 우승

 

2005 랜드시네마'배 MBC게임 프라임 리그 V 전승 우승

 

2005 WEG 2005 시즌1 전승 우승

 

2005 WEG 2005 시즌2 우승

 

2005 MBC게임 워크래프트3 리그 우승

 

2005 CKCG 2005 워크래프트3 부문 우승

 

2005 WEF 2005 워크래프트3 부문 우승

 

2005 WEG 2005 시즌3 8강

 

2005 Incup Season Fall #1 우승 vs TeRRoR

 

2005 Incup Season Fall #3 우승 vs Shy

 

2005 Incup Season Fall #4 우승 vs WinNER

 

2005 Incup Season Fall #5 우승 vs ELAKEDUCK.

 

2005 Incup Season Fall #10 우승 vs homerunball

 

2005 Incup Season Fall Final 준우승 vs Check

 

2005 Incup Season Winter #6 우승 vs Sase

 

2005 한국e스포츠대상 워크래프트 3 부문 최우수선수상

 

 

2006년

 

2006 WEG 2006 Masters 4위

 

2006 VSAS 2006 Masters 3위

 

2006 GGL Digital Life 2006 W3 Tournament 우승

 

2006 슈퍼파이트 Season2 우승

 

2006 IEST 2006 우승

 

2006 MBC W3 K-swiss Season 2 우승

 

2006 Incup Season Summer #5 준우승

 

2006 제1회 대한민국 e스포츠대상 워크래프트 3 부문 최우수 선수

 

 

2007년

 

2007 산소수 W3 2007 시즌1 우승

 

2007 게임엑스 토너먼트 우승

 

2007 산소수 W3 2007 시즌2 우승

 

2007 NSL 2007 Shanghai 우승

 

2007 WSVG 2007 중국 투어 우승

 

2007 블리자드 월드와이드 인비테이셔널(WWI) 4강

 

2007 워크래프트3 래더 토너먼트 시즌5 아시아 예선 우승

 

2007 산소수 W3 2007 시즌3 우승

 

2007 드림핵 2007 섬머 우승

 

2007 PGL 2007 준우승

 

2007 Battle.net Season 5 4강

 

2007 W3 2007 섬머 그랑프리 우승

 

2007 Dreamhack Summer 2007(스웨덴) 우승

 

2007 서울 국제 e스포츠 페스티벌 준우승

 

2007 WCG 한국대표선발전 1위

 

2007 CEG 2007 Xi'an 우승

 

2007 GGL Digital Life Chengdu 우승

 

2007 GGL DIgital Life New York 우승

 

2007 WCG 2007 3위

 

2007 IEST 2007 우승

 

2007 Intel-GIGABYTE Super Wednesday Beijing 우승

 

2007 MGC 2007 준우승

 

2007 AWL Season 1 준우승

 

2007 IEF Masters 3위

 

 

2008년


2008 CEG 2007 Shaoxing 우승

 

2008 PGL Season 2 우승

 

2008 NSL Season 2 4위

 

2008 PGL Season 3 준우승

 

2008 WCG 한국 대표 선발전 1위

 

2008 e-Sports Award 선정 Best WarCraft III Player

 

2008 e-Sports Award 선정 Best e-Sports Player of the Year 2008

 

2008 블리자드 월드 와이드 인비테이셔널(WWI) 워크래프트 3 부문 우승

 

2008 ESWC Masters 우승

 

2008 WCG 2008 준우승

 

2008 IeSF Invitational 준우승

 

2008 IEF 우승

 

 

2009년

 

2009 곰티비 월드 인비테이셔널 2009 3위

 

2009 E-Stars 서울 2009 King of the Games 4위

 

2009 WCG 한국 대표 선발전 1위

 

2009 IEM Season IV ChengDu 준우승

 

2009 WEM 2009 준우승

 

 

2010년

 

2010 STG E-Sports Contest 준우승

 

2010 Nvidia Game Festival 준우승

 

2010 NGL-ONE Season 6 우승

 

2010 배틀넷 초청 래더 한국 지역 선발전 2위

 

2010 ESWC 2010 Grand Final 2위

 

2010 IEM Season 5 Shanghai 3위

 

2010 E-Stars 서울 2010 King of the Games 1위

 

2010 MSI Beat it! 2위

 

2010 BlizzCon 2010 3위

 

 

2011년

 

2011 IEF 2011 우승

 

 

2012년

 

2012 WCG 2012 4위

 

2012-2013 GOD OF ARENA 2위

 

 

2013년

 

2013 ZOTAC CUP 우승

 

2013 MAINSQUARE AWC 준우승

 

2013 WGT 2위

 

2013 WCG 2013 준우승

 

 

2014년

 

2014 AWT 2014 우승

 

 

2016년

 

2016 twitch배 챔피언스리그 시즌2 3위(vs조주연 3:4)

 

2016 Netease 골드리그 스프링 3위 (vs Fly100% 0:2)

 

2016 PGL 2016 Summer 우승 (vs TH000 3:1)

 

 

2017년

 

2017 AWL 시즌 1 우승 (vs 120 4:2)

 

 

2018년

 

2018 Netease 골드리그 윈터 1위 (vs foggy 4:1)

 

One Belt One Road(BREC) Tournament 우승 (vs WFZ 3:0)

 

 

2019년

 

Douyu Thunder Firce Cup 준우승 (vs TH000 2:4)

 

World Cyber Games 2019 시안 3위 (vs HawK 2:0)

 

Chinese New Year Cup 우승 (vs Chaemiko 3:1)

 

 

2020년

 

DreamHack Warcraft 3 Open Anaheim 2020 우승 (vs Focus 3:0)

 

AWL 2020 - Season 1 우승 (vs Lyn 4:2)

 

AWL 2020 - Season 2 우승 (vs LawLiet 4:2)

 

NeXT 2020 Summer 우승 (vs Sok 3:1)

 

World Cyber Games 2020- 1v1 tournament 준우승 (vs Fly100% 1:3)

 

 

2021년

 

AWL 2021 - Season 2 우승 (vs Sok 4:0)

 

AWL 2021 - Season 3 우승 (vs 120 4:3) 

 

 

 

 

 

 

워크래프트3 팀 단위 리그 (온라인 2티어 대회 다수 제외)

 

 

2003년

 

2003 온게임넷 워3 프로리그 준우승 (with ZzoA FairS)

 


2006년

 

2006 Trans-Athlantic Showdown 2:2 우승(with MYM]Lucifer)

 

2006 NGL Season 1 우승 (MYM)

 

2006 WC3L Season 9 우승 (MYM)

 

 

2007년

 

2007 WC3L Season 10 준우승 (MYM)

 

2007 NGL Season 2 준우승 (MYM)

 

2007 WC3L Season 11 3위 (MYM)

 

2007 NGL Season 3 우승 (MYM)

 

2007 WC3L Season 12 준우승 (MYM)

 

 

2008년

 

2008 NGL Season 4 우승 (MYM)

 

2008 WC3L Season 13 우승 (MYM)

 

 

2010년

 

2010 WC3L Season 16 우승 (Wemade FOX)

 

 

2020년

 

World Cyber Games 2020 - Team tournament 금메달 (FM)

 

 

 

 

 



 

밥먹고 워3만 하는 외계인

 


Best Comment

BEST 1 tlqkfsusdk  
1. 장재호가 특정 전략으로 다씹어먹고 우승하면 블쟈에서 해당 전략에 관련된 것들 너프해서 패치함
(패치안하면 그냥 혼자서 대회 학살하고 댕기니까 밸런스 씹창됨.)
2. 그러면 다른 전략으로 다 씹어먹음
3. 그럼 다시 블쟈에서 패치함
4. 123 반복.
5. 한번은 오른팔 골절되서 깁스함. 긍데 그상태에서 오른팔 깁스한채로 왼손으로 콘트롤해서 팀리그엿나? 여튼 해당 대회 우승함;;;;
6. 2008 베이징 중국 올림픽때 성화 봉송함;;;  아니 중국 올림픽인데???
7. 중국에서 인기 개쩔엇음. 이유는 중국에서 워3 인기 어마어마함. 지금도 많이함. 우리나라 스1 같은 종목이었음.
8. 우리나라 스1으로 볼때 최고 커리어는 당연 이윤열, 이영호 같이 메이지 2개 대회 3회씩 우승해서 금뱃지, 금마우스 획득한 정도지만
장재호는 워3 1티어대회 우승횟수 나무위키 기준 49회. 씹 넘사 커리어. 승률도 69%. 대부분이 해외 대회를 원정다녔으니 컨디션 관리도 힘들엇을텐데 외계인 맞는듯;;
9. 애초에 우리나라 워3 는 시작은 좋았으나 시간이 갈수록 인기가 저물어 갔는데 주작 사건이 결정적으로 터지면서 사실상 유저수나 대회 같은건 멸망해버림.
10. 하지만 우리나라 한정이고 세계적으로 특히 중국의 경우에은 7번항과 같이 인기가 개쩔었기에 우리나라 사람들만 모르지
전세계적으로 특히 중국에서 인기는 넘사벽이었음.(페이커 이전엔 장재호 였음)
11. 이런 개쩌는 넘사벽 비교불가 실력과 커리어에도 명예의 전당에 입성 못함;;; 워3 종목탓인듯. 케스파 븅신쉐키들 여튼;;;
11 Comments
tlqkfsusdk 2021.11.14 19:53  
1. 장재호가 특정 전략으로 다씹어먹고 우승하면 블쟈에서 해당 전략에 관련된 것들 너프해서 패치함
(패치안하면 그냥 혼자서 대회 학살하고 댕기니까 밸런스 씹창됨.)
2. 그러면 다른 전략으로 다 씹어먹음
3. 그럼 다시 블쟈에서 패치함
4. 123 반복.
5. 한번은 오른팔 골절되서 깁스함. 긍데 그상태에서 오른팔 깁스한채로 왼손으로 콘트롤해서 팀리그엿나? 여튼 해당 대회 우승함;;;;
6. 2008 베이징 중국 올림픽때 성화 봉송함;;;  아니 중국 올림픽인데???
7. 중국에서 인기 개쩔엇음. 이유는 중국에서 워3 인기 어마어마함. 지금도 많이함. 우리나라 스1 같은 종목이었음.
8. 우리나라 스1으로 볼때 최고 커리어는 당연 이윤열, 이영호 같이 메이지 2개 대회 3회씩 우승해서 금뱃지, 금마우스 획득한 정도지만
장재호는 워3 1티어대회 우승횟수 나무위키 기준 49회. 씹 넘사 커리어. 승률도 69%. 대부분이 해외 대회를 원정다녔으니 컨디션 관리도 힘들엇을텐데 외계인 맞는듯;;
9. 애초에 우리나라 워3 는 시작은 좋았으나 시간이 갈수록 인기가 저물어 갔는데 주작 사건이 결정적으로 터지면서 사실상 유저수나 대회 같은건 멸망해버림.
10. 하지만 우리나라 한정이고 세계적으로 특히 중국의 경우에은 7번항과 같이 인기가 개쩔었기에 우리나라 사람들만 모르지
전세계적으로 특히 중국에서 인기는 넘사벽이었음.(페이커 이전엔 장재호 였음)
11. 이런 개쩌는 넘사벽 비교불가 실력과 커리어에도 명예의 전당에 입성 못함;;; 워3 종목탓인듯. 케스파 븅신쉐키들 여튼;;;

럭키포인트 20,972 개이득

명가옛날통닭 2021.11.14 23:41  
장재호 까는건 아닌디 저땐 나엘빨도 있었고
사실 난 박준(lyn)이 워크판에선 더 드라마틱 하다고 봄. 워3 사랑하던 사람들은 ㅇㅈ할꺼라 봄

럭키포인트 19,980 개이득

더이상참지못하겠다 2021.11.14 23:52  
[@명가옛날통닭] 저 정도면 나엘빨이니 사기니 뭐니 해도
전략인거 같은데

럭키포인트 3,857 개이득

원딜의카이팅 2021.11.15 00:24  
[@명가옛날통닭] 미안 나도 린 좋아했던 오크 유저였지만
나엘빨이라는 건 동의못함

장재호가 커리아 기간동안 항상 나엘이 유리한게 아니었음
장재호만승률이 좋은 기간이 있어서
오히려 나엘에 대해서 재평가해야 한다는 말이 있었던 걸로 기억함

블마 중심 운영으로 오크 생존전략이 생기고
그때 린이 활약하는 영상 아프리카나 이런데서 엄청 찾아보는 팬이었지만
장재호에게 비빌 수는 없음

임요환 장재호 페이커가 종목별 위상은 비슷한 급이라고 생각함

럭키포인트 11,351 개이득

털보상사 2021.11.15 01:06  
[@명가옛날통닭] 프로게이머가 종족빨이란 것은 말도 안되는 이야기죠
어느정도 유리한 부분은 있겠지만 Moon은 나엘 프로게이머들 바닥을 기고 휴먼 오크가 설칠때도 혼자서 날아다녔는데
무슨 나엘 종족빨....제가 언데드가 한번도 좋았던 적이 있었냐 하면 인정합니다.
언데드는 한번도 흥한적이 없었던....언데드 나름 좋아했는데...
전 휴먼 유저입니다.

럭키포인트 7,637 개이득

민자붕붕 2021.11.15 02:48  
[@명가옛날통닭] 오히려 초보가 장재호 따라서 나엘하다가 안드로메다 가는거 많지 않았나 ㅋㅋㅋㅋ 워사냥 하다 워 뿌셔먹거나 워가 막타치거나 위습 다 털리고 수난의 나엘ㅋㅋㅋㅋㅋ 사실 오크가 블마빨 아닙니까? 크리 패시브 너무 좀 쎄게 먹긴 한 거 같던데 그나저나 언데드 금광 회전목마 패치는 아직도 안해줬낭ㅋㅋㅋㅋㅋㅋ

럭키포인트 22,423 개이득

네온 2021.11.15 13:45  
[@명가옛날통닭] 오크 사랑하지만.. 이건 좀.. 장재호 = 워3 이건 부정 못함

럭키포인트 12,215 개이득

최예나 2021.11.15 15:11  
[@명가옛날통닭] Moon 빼고 오크랑 비빌 수 있는 나엘이 있기나 한감?

박준이니까 그남마 문이랑 비비는거지

럭키포인트 28,912 개이득

고이즈미 2021.11.15 00:02  
존나게많네

럭키포인트 27,445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