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미스터리 > 미스터리
미스터리

<2021> 노벨 경제학상

에그몽 0 178 0 0

B2D4121D-C4D3-4FCF-9227-6BA0043140DD.jpeg <2021 노벨 경제학상" data-file-srl="3983462822" title="" style="border: none; cursor: url("//image.fmkorea.com/addons/highslide/highslide/graphics/zoomin.cur"), pointer !important; max-width: 100%; height: auto !important;">

<David Card / 1956년생 / UC 버클리 교수 /노동 경제학, 응용미시계량 경제학>

- 대표논문 -

Card(1999): 도구변수 분석방법을 이용한, 교육이 소득에 미치는 인과관계 분석
Card and Krueger(1993): Diff and diff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최저임금상승이 실업률을 증가시킨다는 증거가 없다고 결론. 엄청난 파장을 일으킴
(물론 후에 특정한 다른 환경, 더 좋은 분석방법을 이용할 경우 다른 결과를 가져온다는 논문들이 이후에 쏟아져 나옴. 그러나 여전히 이러한 논쟁을 촉발시킨 클래식한 페이퍼)


<Joshua D. Angrist / 1960년생 / MIT 교수 / 노동경제학, 응용미시계량 경제학>
<Guido W. Imbens / 1963년생 / 스탠포드 교수/노동경제학, 응용미시계량 경제학>

-저서-
Mostly harmless econometrics(한국명:대체로 해롭지 않은 계량경제학): 대학원 레벨 이상의 응용미시경제학의 교과서

-대표논문-

Angrist, Imbens and Rubin(1996): 도구변수 방법을 이용한 인과관계증명

Angrist and Imbens(1995): 표본에서 compliers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Local average treatment effect(LATE)을 측정하고 이것이 Average treatment effect(ATE)와 다름을 보이면서 더욱 정확본한 인과관계분석에 기여


-------------------------------
정리하자면 세분 모두 노동경제학, 응용미시경제학 전공하는 대학원생이라면 무조건 알 정도로 유명한 사람들임. 

특이한 것은 그들이 분석한 결과 그 자체보다 그들이 만든 인과관계분석방법 에 더 큰 기여도가 있다고 생각함.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의 가장 큰 차이는 실험 대상이 자연과 사람이라는 점에서 다르다는 것도 있지만,
실험 방법도 매우 다르다. X라는 효과에 대한 분석을 하고 싶을때 자연과학은 A 집단을 통제하고 이와 성질이 매우 동질한 B집단에만 X를 적용시켜 인과관계를 알아보는게 가능하지만, 사회과학에서는 시간, 비용, 그리고 윤리적인 이유로 인해 인과관계를 측정하는 것이 매우매우매우 어렵다.
(예를들어 교육이 추후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한 집단의 아이들은 학교를 보내지 않고, 아주 비슷한 성질의 한 집단은 학교를 보내서 10년후에 임금 수준을 비교한다고 하면 이게 윤리적으로 말이 되는가?)

그러나 경제학자들은 이러한 인과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여러가지 수학적인 방법을 디자인하였고, 그것들이 바로 Matching, Instrument variable(도구변수), Regression discontinuity(번역어케하지...잊어버림) 등 이다. 이러한 획기적인 연구방법으로 인해 실제로 경제학적인 인과관계를 측정하는데 매우 큰 기여를 하였기에 노벨상을 수여한것으로 보인다.
(물론 자연과학같은 Randomized control trial이 짱짱맨임)

----------------------------------
인과관계 효과에 대한 측정이 왜 중요하나면, 쉽게 말해서 어떤 신약이 어떤 질병을 치료하는데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아주 정확한 방법을 개발해냈다고 보면 됨.

현실에서 많은 정치인들이, 그리고 많은 대중들이 어떠한 정책을 펼치거나 지지할때 그냥 뇌피셜로 '아 이 정책은 이러한 효과를 나타낼거 같아 보인다'라고 하는데 경제학에서는 실제로 그게 효과를 나타내는지, 나타낸다면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정확하게 분석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백 수천억의 예산이 들어가는 정책을 펼치는데 뇌피셜로 정책을 펼치는것만큼 어리석고 우스운 일이 있을까...경제학은 이를 극복하는 학문이다)

0 Comments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