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미스터리 > 미스터리
미스터리

조수간만의 차가 큰 지역에 어떻게 항구를 만들까?

주성치 3 1306 3 0

서해가 조수간만의 차가 크다는 이야기는 군갤럼들도 다 학창시절에 들어봤을 겁니다


근데 그 차이가 얼마나 크냐?




제가 현역 시절... 출동나가서 일과 끝나고 마무리할 때 하던 작업 중 하나가 조석표 확인이었습니다


조석표, 즉 물때가 언제고 그 정도는 어느정도인가를 표기해놓는건데요.




연평도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1508733713.png 조수간만의 차가 큰 지역에 어떻게 항구를 만들까?


http://www.khoa.go.kr/swtc/main.do


네. 해수의 고저차가 무려 5미터 이상입니다.


즉 가장 낮은 시점이랑 가장 높은 시점의 부두의 수위가 5미터 난단 소리인데 저러면 항구를 못써먹죠 


같은날 진해의 경우엔 고저차가 1~1.5미터 정도. 동해는 거의 없음...






그럼 저런 조수간만의 차를 어떻게 극복하느냐? 


1508733713.jpg 조수간만의 차가 큰 지역에 어떻게 항구를 만들까?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316527


인천항 사진입니다. (짤의 배들은 해경정들임..)



배들이 부두에 계류하고 있죠. 그런데 그 부두(바지)와 연결된 다리가 보이십니까?


저 다리가 조수간만의 차에도 불구하고 서해안에 항구를 굴려먹을 수 있는 비밀입죠


1508733714.png 조수간만의 차가 큰 지역에 어떻게 항구를 만들까?


가변적으로 움직이게 되어있는터라


물이 빠지면 저렇게 각도가 커지면서 육지와 바지를 이어주고


물이 차면 각도가 완만해지면서 육지와 바지를 이어주게 됩니다


배는 저 바지에 묶어두면 조수간만과 상관없이 배를 계류시켜놓을 수 있는 것이죠



해수면 높낮이가 하루에 5미터씩 왔다갔다 2번 하쥬. 배로 출근할 때랑 점심먹으러갈 때 또 다르고, 저녁에 퇴근할 때 또 다르고..



만약 저런 식이 아니라 그냥 육지에다가 배를 묶어둔다면? 


밀물 떄 기준으로 홋줄 잡아두면 썰물 때 홋줄이 터질테고.. 반대로 썰물 기준으로 홋줄 잡아놓으면 밀물 때는 풀릴테죠


서해 항들은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저런 식의 구조입죠


출처 : 디시인사이드 군사 갤러리

3 Comments
노란선풍기 2018.02.11 17:42  
ㄷㄷ 신기하다

난 동해라서 조수간만 거의 없었는데

럭키포인트 248 개이득

김재규 2018.02.11 19:28  
아침에 국기수 하고나서 조타실가서 조석표 그리던게 생각나네 ㅋㅋㅋ

럭키포인트 360 개이득

미배스 2018.02.23 14:38  
신기 신기

럭키포인트 534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