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미스터리 > 미스터리
미스터리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불량우유 1 341

K2 전차.webp.ren.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2025년 현재 대한민국 방위산업은 


다양한 장비들을 해외로 수출하며 인정받고 있다 




방위산업.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이런 방위산업의 바탕에는 북한과의 


군사력 경쟁에서 밀리지 않고


질적인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각 분야에서 


오랜 시간 고생한 이들의 노고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북한 탱크2.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냉전 시절 북한군과의 경쟁을 이어오던 한국군은


1980 ~ 90년대 여러 전력증강사업을 통해 


육/해/공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고



과도기적 시기 북한군의 장비를 압도하며


우리군의 질적인 발전을 상징하는 몇 가지 무기가 있다. 




K1 전차.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1. K1/K1A1 전차



현재는 성능 상의 주력 타이틀을 K2 흑표 전차에게 넘겼지만


개량 사업을 통해 중요 전력으로 운용 중인 K1 계열 전차들은






88 전차.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1987년 실전 배치되었으며 K1 이전 국군이 운용했던


M47/M48 전차와 비교시 


화력, 기동성, 방어력, 전자장비 등에서 월등히 우수한 전차로 




북한 탱크.webp.ren.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우리와 비교해 크게 밀리지 않았으며


수량에선 좀 더 우세했던 북한군 기갑전력과의 


균형을 완전히 깨버린 장비라고 할 수 있다.




기갑 (1).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87년 화력시범에서 제9169부대 조수제 중령은 


야전 배치 후 국민들에게 처음 공개 된 K1 전차를


이렇게 평가한 적이 있다



이 88전차는 기동력, 화력, 생존성 면에서 


그 성능이 북괴 전차보다 월등히 우수한 


한국 지형의 여건에 적합한 세계적 전차입니다


앞으로 북괴가 새로운 어떤 전차를 개발하더라도


이 88 전차를 능가할 수 없을 것입니다





전차.webp.ren.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방송 인터뷰용 멘트인 걸 감안해도


M47/M48 계열 전차를 타본 기갑병과 군인들이


K1 전차를 처음 사용해보고 체감적으로 느꼈을


성능에 대한 소감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이며 





K1 전차2.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K1, K1A1 전차의 배치와, 이후 K2 전차의 개발까지 이어지면서


한반도 기갑전력의 판세는 완전히 우리 쪽으로 넘어오게 된다.





K-9.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2. K-9 자주포



북한과 한창 군사력 경쟁을 하던 시절 


우리 군이 북한과 비교해 꼭 우위에 있다고


말하기 힘든 부분이 포병 전력이었다 




북한군.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북한은 옛날부터 포병전력 증강에 집중했으며


실제 전력보다 과장된 부분도 있으나 우리 군 입장에선


분명하고 현존하는 위협이었고 거기에 대응하기 위해




M109.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M109 자주포를 라이센스한 K-55 자주포를 


1천대 이상 배치하며 대응했으나


육군은 좀 더 확실한 우위를 점하고 싶었다




K9 자주포.webp.ren.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K-9 자주포의 개발은 국방과학연구소를 중심으로 


1989년 시작되었으며 삼성항공, 기아중공업, 동명중공업 등 


유수의 업체들이 협업해 1994년 시제차량 완성







1996년 안흥사격장에서 첫 실탄 사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K-9 자주포 2.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이후 1999년 K-9 자주포는 테스트 완료 후 


육군에 인도. 야전 부대에 첫 배치되었으며 




11사단.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기존 K-55 자주포나, 견인포보다 월등한 성능으로


한국군 포병 전력의 질을 획기적으로 끌어 올렸으며



북한 포병과의 전투에서도 더 정확한 명중률과 사거리,


화력 투사 능력, 생존성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되었다.




연평도 포격전.webp.ren.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K9 자주포는 야전에서 그 성능과 신뢰성을 입증했고


2010년 연평도 포격전에서 인지도를 올렸고




K-9 자주포3.webp.ren.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그 성능과 특유의 가성비로 해외에 수출되며 


서방 측 표준 자주포에 준하는 인정을 받고 있다



덧붙여 개량 사업이 진행 중이며 수출물량 또한 더 늘 수 있어


한국 방산 역사의 쾌거 중 하나로 평가할 수 있다.




K10.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덧붙여 K9 차대를 활용한 바리에이션 중


K10 탄약운반장갑차가 있으며 



K102.webp.ren.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유사시 인력을 통한 포탄 공급보다 훨씬 안전하고 빠르게


K9 자주포로 포탄을 공급할 수 있으며


자주포의 화력 지속 효율성을 크게 올려준다.





F-16 PB.webp.ren.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3. F-16 전투기



F-16은 80년대 중반부터 피스브릿지 사업/KFP 사업을 통해 


우리 군에 주력 전투기로 도입되었다




F-16 2.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80년대 중반 F-16 C/D 블록 32 기종


총 40대를 순차적으로 도입 후




F-16 3.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이후 F-16 BLOCK 52 기종을 면허 생산해 


120대 분량이 KF-16이란 명칭으로 실전배치 되었으며



직도입 12대, 조립생산 36대, 면허 생산 72대


이후 2000년대 초반 20대 추가 도입




f-15.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기존 기체들에 대한 성능 개량 사업을 진행 중이며


F-15K, F-35 등과 함께 우리 공군의


주력 전투기로 활약하고 있다.




팬텀.webp.ren.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F-16 전투기는 우리 공군이 팬텀 전투기를 도입,


전력 증강 이후 북한 상대로 우위를 잡은 한반도 제공권의 주도권을 


이후 우리쪽으로 완전히 뒤집은 기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기체의 상징성과 전력 증강에선


팬텀 또한 우리 공군의 큰 분기점을


만들어낸 기체이기도 하다 





 

광개토대왕급.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4.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은 한국형 구축함 프로젝트인


KDX-1차 사업을 통해 탄생했다




울산급.webp.ren.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광개토대왕급 이전 우리 해군의 주력 전투함이었던


울산급과 포항급의 경우 북한 해군과의 전투에서


분명 쓸만한 물건이었지만



군함의 작전 능력, 사이즈, 방공 능력 등


연안해군 수준의 전투함이었고 이것을 보완할 필요성을 느꼈다.




광개토대왕급 2.webp.ren.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해군은 KDX 사업을 통해 최초의 국산 구축함인


광개토대왕급을 1996년 배치했으며


동종함으로 을지문덕 함과, 양만춘 함이 있다.




KDX-1.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광개토대왕 급은 3200톤급으로 기존 전투함과 비교시


크기, 설계 개념, 탑재 된 장비 등 모든 면에서 진일보했으며


대양 해군으로 나아간다는 대한민국 해군의


첫 걸음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순신 급 구축함.webp.ren.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이후 최초로 5천톤을 넘어선 이순신 급 구축함과


이지스 함인 세종대왕 급이 나오면서 


살짝 잊혀진 군함이 되었고




광개토대왕급3.jpg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균형을 깨버린 상징적 무기들

 

지금 기준에서 보면 아쉬운 점도 있는 전투함이지만


96년 이후 현재까지 쉴 틈 없이 작전을 수행하며 



우리 영해를 지켰으며 수상 전력에서 북한 해군을 상대로


전술적, 기술적으로 완전히 우위를 굳힌 군함이라 말할 수 있다.




ㅊㅊ- https://www.fmkorea.com/best/9008258319

1 Comments
무리뉴 4시간전  
킹치만 빨갱이새끼들은 핵이 있는걸..

럭키포인트 1,077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