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베스트 > 베스트
베스트

Best Comment

BEST 1 강미나  
[@첫느낌] 문제를 다 풀어서 자신이 1등이라고 생각했지 학교측에서 1등이라고 한적은 없는거같고 입학시험에서 많이 풀어서 합격시키는게 아니라 얼마나 창의적으로 푸는거에 중점을 두었던게 케임브리지 대학교가 생각했던거같음
26 Comments
민정중에최고 2018.07.19 01:03  
다시보기봐야겠다

럭키포인트 320 개이득

개집왕자 2018.07.19 01:04  
인간이 반복숙달해서 얻는 결과물이 목적인 사람과 동기가 우선되어서 반복숙달이 본성인 사람의 차이인 듯

럭키포인트 416 개이득

체다만두 2018.07.19 01:08  
이번에 공무원 합격이 됬지만 그동안 공부한게 국가를 위해 봉사하는데 도움이 된다 생각하면 나의 답은 ㄴ다

럭키포인트 234 개이득

사리자 2018.07.19 07:34  
[@체다만두] 읭? 난 예전에 합격했지만 도움된다고 생각하는데...선택을 뭘하셨길래 일단 사과수면 도움 안되는거 인정합니다.

럭키포인트 350 개이득

첫느낌 2018.07.19 01:08  
입학시험 1등이 떨어질거면 입학시험 왜봄 ㅋㅋㅋ
차별 아녀?

럭키포인트 421 개이득

미스타뿌 2018.07.19 01:26  
[@첫느낌] 본문 보고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시죠

럭키포인트 226 개이득

첫느낌 2018.07.19 01:37  
[@미스타뿌] 문제푸는 기계를 원하는게 아니다 뭐 이런거요?
순수한 학문추구요?
입학시험이 있고 1등을 했는데 불합격이면
입학시험의 의미를 모르겠네요 입학면접이라고 하지
다시 생각해보면 논란의 여지는 충분하죠
미스타뿌 2018.07.19 01:40  
[@첫느낌] 네 의견 잘 들었습니다
맛사냥꾼 2018.07.19 01:49  
[@첫느낌] 그 당시의 김반석이네요

럭키포인트 169 개이득

첫느낌 2018.07.19 02:29  
[@맛사냥꾼] 입학조건을  이해못하는게 아니고
입학시험 석차방식이 잘못된것이 아니냐 하는 말입니다
1등이 당연히 합격해야죠.
입학기준에서 본다면 저 사람은 1등이 아닌건데
시험에서 1등이라고 하면 안되죠
강미나 2018.07.19 02:40  
[@첫느낌] 문제를 다 풀어서 자신이 1등이라고 생각했지 학교측에서 1등이라고 한적은 없는거같고 입학시험에서 많이 풀어서 합격시키는게 아니라 얼마나 창의적으로 푸는거에 중점을 두었던게 케임브리지 대학교가 생각했던거같음

럭키포인트 133 개이득

내가니M이다 2018.07.19 08:56  
[@첫느낌] 직장 공채에서도 필기 시험과 면접 시험이 있을때 필기 만점 맞고 1등으로 면접보러 들어가도 면접에서 떨어지는 사람이 많다는걸 보면서 시험 점수 1등이 위에서 원하는 전부가 아니구나라고 느꼈습니다.
말 그대로 입학시험도 이 학생이 우리과에 들어와도 될만한 실력은 있는지 기본적인 능력평가지 합격의 여부를 흑백처럼 구분하는 척도는 아닌것을 사회 나와서 알았네요.

럭키포인트 378 개이득

휴일 2018.07.19 02:46  
[@첫느낌] 답안 도출하는 과정을 중요시했나보지
테크니컬 수학이라고 표현하는거 보니 짤주인공은
이미 배운 공식들 사용해서 연역적 추론을 했나보고
대학은 문제를 보고 귀납적 추론을 하는 학생을 원했나보지
차별 같은건 아니라고 봄

럭키포인트 74 개이득

진기명기 2018.07.19 03:01  
[@첫느낌] 그들의 입학시험이 점수만의 평가가 아닌 과정과 상상력을 보기 위한 시험이라면 이해가 되나요?

럭키포인트 468 개이득

엘더맨 2018.07.19 07:33  
[@첫느낌] 입학 시험이 수학 문제를 주제로 한 토론 면접이었는데 문제 맞춘 갯수로 석차를 매길까, 본인이 수학 문제를 제일 많이 풀었다는 얘기 겠지

럭키포인트 180 개이득

REVIVAL 2018.07.19 01:25  
죤나 천재새끼들 ㅡ.ㅡ

럭키포인트 495 개이득

이스코 2018.07.19 01:30  
이때까지의 개도국시절 발전하기위해서는 적절한 수준의 양질의 인재를 매년 쏟아내는 이런 주입식 교육이 잘 통했음 물론 그 결과로 우리나라가 이정도까지 오게 된거고 유지 하는거고 근데 더 이상의 수준으로 올라가려면 다양한 인재를 배출해낼수있는 교육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봄 그리고 가장중요한게 군복무 문제가 해결 안되면 울나라 수준 올라가는데 어려움 그 인재들이 군대때문에 울나라 대학에 가둬져서 뒤쳐짐. 수능 그 자체의 교육시스템은 근데 나쁘다고는 생각 안됨 저런 네임밸류중에서도 최고의 네임밸류 대학을 비교하고 전 세계에서 최고의 천재들중에 모으니까 울나라가 못해보이는거지 그렇다고 울나라 수준이 낮지도 않음 모집의 파이에서부터 차이나니까

럭키포인트 447 개이득

개똥2 2018.07.19 07:45  
[@이스코] 군대를 안보낼 수는 없고 이스라엘처럼 대안을 만들면 좋을텐데 가능할지 모르겠네
이스라엘엔 탈피옷이라고 이공계 엘리트들만 가는 부대가 따로 있어서 그 부대에서의 경험으로 제대 후 스타트업 하는 경우도 많고 여튼 꽤 좋은 평가를 받고 있음

럭키포인트 351 개이득

태희야 2018.07.19 03:26  
내가 본 학생중에서 놀랐던 아이가있는데
공식을 가르쳐주기전에 자기스스로 공식을 만들고 증명해서 문제를 이렇게풀어도 되냐고 되묻던 아이가 기억난다
물론 단순한 문제기는했어도 대단하다는 생각만 들었었음

럭키포인트 282 개이득

다리가죠아 2018.07.19 04:51  
우리나라 교육은 학자 보다는 기술자를 요구하지. 졸업해서 현장에서 바로 써 먹을 수 있는.

럭키포인트 48 개이득

뷔뷔 2018.07.19 07:02  
[@다리가죠아] 그건 기업이 원하는거고 우리나라 교육은 등수 가리기지

럭키포인트 456 개이득

맥짱 2018.07.19 09:29  
일단 우리가 추구하는거랑 다르니...

럭키포인트 212 개이득

가다기리 2018.07.19 09:33  
김정훈같은애는 숫자를 거의 성스러운걸로 생각하더만 ㅋㅋㅋ

럭키포인트 29 개이득

개집의왕 2018.07.19 13:33  
김반석 국제수학올림피아드 명단에 아예 없던데~ 가명인가?

럭키포인트 204 개이득

단발걔 2018.07.19 15:24  
수학자 존 내쉬의 존내쉬운 수학

럭키포인트 210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