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베스트 > 베스트
베스트

Best Comment

BEST 1 아하호오  
본문에도 나오지만 교수님이 법의학자시고, 철학이나 인문쪽 교양이 아니라 과학 교양임.

죽음의 의미나 삶과 죽음 같은 추상적 개념을 다룬다기 보다는,
법의학자로 일하시면서 본 죽음의 과학을 다룸. 뭐 예를 들면 사후경직이나, 칼에 찔렸을 때 남는 상처의 형태 같은 거.

물론 워낙 죽음과 가깝게 사는 분이시다보니 수업 처음과 끝에 살짝 자신이 생각하는 죽음에 대해서 말하긴 하시는데,
딱히 생각이 정리되어 있다거나 인문학적으로 별 의미가 있다는 생각은 안 들었음.

오히려 가지고 오시는 케이스들이 워낙 적나라하고 자극적이라 (모자이크도 하나도 안 되어 있음) 그런걸 보는게 흥미로웠던 기억이 나네.

수업이 궁금한 사람들은 책으로도 나와있으니까 사보는 것도 방법일 듯! 어떤 출판사에서 서울대 명강의 시리즈를 내던데 그 시리즈 중에 하나로 나와있던걸로 기억함
8 Comments
opggvtuccw 2021.05.19 10:44  
강의 들어보고싶다

럭키포인트 10,786 개이득

아하호오 2021.05.19 10:59  
본문에도 나오지만 교수님이 법의학자시고, 철학이나 인문쪽 교양이 아니라 과학 교양임.

죽음의 의미나 삶과 죽음 같은 추상적 개념을 다룬다기 보다는,
법의학자로 일하시면서 본 죽음의 과학을 다룸. 뭐 예를 들면 사후경직이나, 칼에 찔렸을 때 남는 상처의 형태 같은 거.

물론 워낙 죽음과 가깝게 사는 분이시다보니 수업 처음과 끝에 살짝 자신이 생각하는 죽음에 대해서 말하긴 하시는데,
딱히 생각이 정리되어 있다거나 인문학적으로 별 의미가 있다는 생각은 안 들었음.

오히려 가지고 오시는 케이스들이 워낙 적나라하고 자극적이라 (모자이크도 하나도 안 되어 있음) 그런걸 보는게 흥미로웠던 기억이 나네.

수업이 궁금한 사람들은 책으로도 나와있으니까 사보는 것도 방법일 듯! 어떤 출판사에서 서울대 명강의 시리즈를 내던데 그 시리즈 중에 하나로 나와있던걸로 기억함

럭키포인트 9,987 개이득

보이드 2021.05.19 11:37  
[@아하호오] 몇학번??

럭키포인트 5,171 개이득

벼락오바마 2021.05.19 13:59  
[@보이드] 07

럭키포인트 7,709 개이득

보이드 2021.05.19 14:49  
[@벼락오바마] 동기다!
biteme 2021.05.19 11:29  
ㅇㄷ

럭키포인트 15,648 개이득

장구사마 2021.05.19 11:39  
존나 멋있는 말이네
뒤돌아 보 지 말고 앞만 보고 가라

럭키포인트 25,309 개이득

흥민쏜 2021.05.19 18:06  
잊어버리라는거 크게 와닿네. 대부분의 사람들이 잘 못하는건데

럭키포인트 14,488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