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베스트 > 베스트
베스트

이제 차사고 나면 ‘대체부품’ 사용해야…보험료는 그대로

지예은 30 6270 23 0
스크린샷 2025-07-10 171758.png 이제 차사고 나면 ‘대체부품’ 사용해야…보험료는 그대로




역시 보험료 인하는 없었다

스크린샷 2025-07-10 172103.png 이제 차사고 나면 ‘대체부품’ 사용해야…보험료는 그대로


보험업계가 환영한다 = 가입자들에게는 손해다

요약

25.08.16 자동차보험 표준약관 개정으로 
자동차 사고 시 가장 저렴한 대체인증품으로 수리(고가 순정품 사용 시 차주 부담 - 피해자일 경우도 동일)

보증 남은 차량은 사고 당해서 수리하는 것도 억울한데 보증도 없어질 듯

??? : 차 사고를 왜 당해? 피하면 되잖아?

Best Comment

BEST 1 피카츄EV  
요약 : 누가 내차를뒤에서박았다 그래서 차를 입고시키는데
순정부품이 100만원 , 사제부품이 30만원이면 강제로 저렴한 30만원부품으로
교체해야함. 만약 나의과실이없더라도 순정부품으로교체를원하면 차액인 70만원을 지불해야 순정부품으로 교체가 가능하다.
BEST 2 이거뭐야  
금감원 시발 ㅋㅋㅋ 단통법도 그렇고 개같은새끼들
30 Comments
그라할트밀즈 07.10 18:12  
???? 이제 차를 k2흑표로 바꿔야겠군

럭키포인트 25,713 개이득

타타 07.10 18:12  
금융당국 짜치네

럭키포인트 15,177 개이득

한국전력공사 07.10 18:14  
듣기로는 제조사 정식서비스 센터에서 수리 받으면 대체부품 대비 차이나는만큼은 자부담 해야된다고 함ㅋㅋㅋㅋ

럭키포인트 3,556 개이득

TouchMyTits 07.10 18:16  
엥 이건 좀

럭키포인트 23,827 개이득

피카츄EV 07.10 18:37  
요약 : 누가 내차를뒤에서박았다 그래서 차를 입고시키는데
순정부품이 100만원 , 사제부품이 30만원이면 강제로 저렴한 30만원부품으로
교체해야함. 만약 나의과실이없더라도 순정부품으로교체를원하면 차액인 70만원을 지불해야 순정부품으로 교체가 가능하다.

럭키포인트 9,398 개이득

딸딸이아빠 07.10 19:27  
돌았네 ㅋㅋㅋ이게말이되??

럭키포인트 22,330 개이득

크아아오오 07.11 08:33  
도대체 보험회사에 뭘 얼마나 받아쳐먹은거지?

럭키포인트 14,215 개이득

갓김치 07.24 17:41  
[@크아아오오] 저도 이 생각.
그리고 지금껏 보험적용을 순정부품으로 해왔다가 인정부품으로 바꾸게 되면 당연하게 보험료가 저렴해지거나.
순정부품용 보험과 인정부품용 보험을 따로 만드는 게 맞는 것 같음.
지금과 똑같은 보험료를 유지한 체 인정부품 사용은 노.

럭키포인트 21,200 개이득

이거뭐야 07.24 17:30  
금감원 시발 ㅋㅋㅋ 단통법도 그렇고 개같은새끼들

럭키포인트 15,853 개이득

이거뭐야 07.24 17:36  
[@이거뭐야] https://www.cheongwon.go.kr/portal/petition/open/viewdetail/PRI8fe2ba1278804c5888bd401cb8bb856f?pageIndex=165
도토리키재기 07.24 17:49  
진짜 짜치네 ㅅㅂ 사고당한사람은 당한것도 억울한데 개열받겠는데?

럭키포인트 20,290 개이득

야크킹 07.24 17:54  
갈수록 ㅈ같아지냐

럭키포인트 2,526 개이득

그냥그렇다구 07.24 18:01  
이건 ㅋㅋ

신차 파는애들한테도 타격일듯

현대, 기아 분발해라 ㅋㅋ

어차피 사고나면 감가 최대 쳐맞은 감가 차들이라

누가 신차 사겠니 ㅋㅋ

럭키포인트 2,228 개이득

그냥그렇다구 07.24 18:16  
gpt랑 얘기하면서

내 의견은 ' 공산당 기조의 하향 평준화 정책'으로 보인다고함

'내생각엔 뭔가 공산당 기조의 하향평준화 정책의 일환인것같아'


ChatGPT의 말:
아, 그런 시각도 충분히 이해돼요.
이 정책이 품질인증부품을 권장하고 선택지를 확대하는 게 ‘평준화’ 효과를 가져오면서, 소비자와 기업 간 차별화 요소를 줄인다는 점에서 그런 느낌을 받을 수 있죠.

왜 ‘하향평준화’ 혹은 ‘공산당 기조’ 느낌이 들 수 있을까?
1. 품질을 일정 수준으로 묶어버림
인증부품은 일정 품질 이상을 보장하지만, 최고급 정품과 완전히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음

소비자가 고급 부품 대신 ‘평균’ 수준의 인증부품만 쓰게 강제당하는 듯한 인상

2. 시장 경쟁 축소 효과 우려
인증부품 제도가 확대되면, 고급 부품·고가 부품 시장이 위축될 수도 있음

이는 소비자 선택권 확대라는 측면과 반대로, 시장 내 차별화·프리미엄 전략을 약화시키는 결과가 될 수 있음

3. 정부가 부품 가격과 품질을 일괄 관리·통제하려는 인상
‘품질인증’이라는 틀 자체가 정부가 품질·가격을 규격화해서 시장에 개입하는 것이기에

‘자유시장 경쟁’보다 ‘획일화·통제’에 가까워 보일 수 있음

다만, 꼭 ‘공산당식 정책’이라고 단정하기 어려운 이유
정책의 의도는 소비자 보호와 비용 절감, 중소기업 육성, 산업 건전성 확보에 있음

현재 자동차 보험과 부품 시장에서 과도한 독점과 불투명한 거래 구조가 문제인 것도 사실임

따라서 일정 수준 품질을 보장하고 소비자 권익을 확대하는 ‘인증’ 제도는
선진국에서도 흔히 쓰이는 소비자 보호 정책임

결론적으로
“공산당 기조의 하향평준화”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로는 복잡한 시장 실패를 바로잡고 소비자와 산업의 균형을 맞추려는 시도인 경우가 많아요.

다만, 정책 설계와 집행 방식에 따라 획일화가 강제되고 시장 활력이 떨어지면 그런 부작용도 충분히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해야 합니다.
스팸마요덮밥 07.24 21:08  
자동차보험료 낮춰라

럭키포인트 6,507 개이득

반박불가 07.24 21:38  
[@스팸마요덮밥] 알아서 낮아짐

럭키포인트 23,180 개이득

옆집왕 07.28 20:31  
[@반박불가] 단통법도... 통신비 인하를 기대하고 생겼었죠

럭키포인트 11,197 개이득

반박불가 07.28 20:32  
[@옆집왕] 같은 개념이 아니잖아요...

보험은 결국 나간 보험금 = 받은 보험료 + 사업비
수지상등이라 보험금이 적게나가면 알아서 보험료는 낮아짐

럭키포인트 7,811 개이득

옆집왕 07.29 17:41  
[@반박불가] 알려쥬셔서 감사합니다. 그 "받은 보험료"는 계산과정에서 "보험사 내규" 한 마디만 넣으면 장난질 하기 쉬워보이는 구조로 보입니다.
반박불가 07.29 18:09  
[@옆집왕] 금융권에서 내규로 요율을 결정할 수 없게 되어 있습니다.. ㅎㅎ
두루미 07.24 22:09  
보험 사기꾼들이랑 나이롱들도 한몫함

럭키포인트 25,845 개이득

비트코인2800층 07.25 09:02  
별것도아닌걸로 과하게 교체 수리하는거 잡으려고 저러는거같은데 좀 방식이 아주 잘못된거같은데?ㅋㅋ

럭키포인트 16,883 개이득

눈팅청산 07.25 09:51  
기사 댓글이 정답이네
금감원 직원 샤넬백 수리했는데 호환품으로 대충 수리하면 지랄할거면서

럭키포인트 10,666 개이득

카리나는신이에요 07.25 14:18  
이제 차 사고나면 감가 더 심해지겠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사고난 부위는 백퍼 정품 안 썼을테니

럭키포인트 1,428 개이득

아이피밴 07.25 16:41  
[@카리나는신이에요] 법시행령 이후 기준으로 감가 오지겠네 무친;;

럭키포인트 28,291 개이득

스탠리 07.25 18:04  
차라리 보험료를 올리지 왜 이런 식으로 시스템 자체를 망가뜨리지?

럭키포인트 19,029 개이득

스마트키 07.25 22:02  
이거 뉴스보니깐 대체품쓰면 보험자한테 인센주는거라던데 뭔가 내용 쏙빼먹고 대체품만 글작성한거아님?

선택권이 있다고 뉴스기사는 써있음

럭키포인트 2,388 개이득

안은진 07.25 22:33  
중국몽이네

럭키포인트 4,957 개이득

드라군똥꾸멍 07.25 23:09  
근데 대체품도 재생만 아니면 대부분 보통 현기차 납품업체 제품인데........

럭키포인트 22,251 개이득

도리도리곰 07.26 03:17  
꼬라지가 거꾸로 가네 완전 ㅡ.ㅡ;;
뭐하자는거야.

럭키포인트 16,913 개이득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