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도리탕 논란에 불을 지폈던 권대영의 말에 따르면 음식 이름 중간에 들어간 단어는 '요리 과정'이라고 한다. 그러나, 권대영은 '도려치다'가 '도리치다'로 표준어로 굳어졌다고 주장하지만 국립국어원은 표준어로 정한 적이 없다. 또한 권대영의 위 칼럼에 닭도리탕, 꿩도리탕, 토끼도리탕의 기록이 1920년대 문헌(조선무쌍신식요리법 등)에 나타난다고 하는데 ‘해동죽지(海東竹枝)’에 나오는 도리탕(桃李湯) 외에는 확인할 수 없다.
순화어인 '닭볶음탕'도 문제아다. 문헌 상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서 도리탕은 닭볶음이라고 나왔기에 국립국어원이 닭볶음으로 순화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볶음에 탕을 붙여 조어를 한 것은 부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대부분의 조어 특히 요리법에서는 한 가지 조리법만 쓰이는데 '볶음'과 '탕' 둘 다 사용하는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다.
여러 주장에 비춰 본다면 닭도리탕이 일본어의 영향을 받았다는 결정적 근거는 아직까진 없다고 봐야 한다. 물론 정황상 그럴 가능성이 전무하진 않으나 그렇다고 심증만으로 일제 잔재어라 주장하는 것은 애먼 사람을 친일파로 몰아붙이는 것과 다를 게 없다. 따라서 닭도리탕이 현재 국립국어원이 권장하는 단어가 아니라 할지라도 그런 말을 쓰는 사람들을 지적질할 근거는 전혀 없다.
Best Comment
노이즈 마케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