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강 ‘한국 양궁’ 망하게 하려던 ‘호이트 활 사건’.txt
쐈다 하면 10점이요. 대회만 나갔다 하면 금메달을 쓸어오는 한국 양궁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세계 최고의 실력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한국 양궁이 최고의 경쟁력을 유지하는 이유 중 하나가 양궁협회에 있다는 것은 너무나 잘 알려진 사실인데요.
철저한 실력주의를 원칙으로 투명한 선수선발 시스템과 한국을 견제하는 국제변화에도 발 빠르게 적응하는 등 그야말로 건강한 조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과거 한때 선수들과 코치진, 학부모들에게까지 엄청난 비난을 받았던 적도 있었는데요. 과연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요?
유튜브 채널 ‘판TV’에서 소개했습니다.
1996년 미국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남자 양궁 국가대표팀은 개인전과 함께 단체전에서 미국에 1점 차로 져 금메달을 놓치게 됩니다.
양궁협회는 대회가 끝나고 곧바로 패배 요인을 따져 보았는데 선수들이 사용하고 있는 활이 문제라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당시만 하더라도 선수들이 사용하던 전문적인 양궁 활은 미국과 일본 제품이 전 세계 시장을 장악해 국내 대표팀도 이들 제품을 사용했었습니다.
여자 대표팀은 일본의 야마하에서 만든 활을 사용했으며, 남자 대표팀은 미국의 호이트 제품을 사용했었는데요.
올림픽에서 미국에 패배했던 이유가 활로 밝혀지자 양궁협회는 미국 호이트사에게 미국 대표팀과 같은 활을 주문했으나 돌아오는 대답은 ‘NO’였습니다.
더구나 올림픽이 열리기 1년 전부터 더 좋은 제품이 있다는 소식에 구매를 하려고 했으나, 타이완 총판을 통해 미국 호이트 본사에서 팔지 말라는 명령을 내렸다는 사실도 추가조사를 통해 알아내게 되었습니다.
또한 통사정해서 겨우겨우 해당 회사의 제품을 구해도 거의 모든 제품이 불량품이었는데요. 튜닝이 전혀 되지 않아 별도의 과정을 거쳐 선수들이 사용해야만 했습니다.
미국 호이트사는 자국의 대표팀을 밀어주고 세계 최강이었던 한국을 견제하기 위해 성능이 좋았던 신제품을 한국에 팔지 않았던 겁니다.
세계대회를 나가면 유독 한국 선수들만 구닥다리 장비를 사용했던 원인 뒤에는 바로 이러한 모종의 음모(?)가 있었던 것이었죠.
모든 사실을 뒤늦게 눈치챈 양궁협회는 그야말로 피가 거꾸로 돌고 분을 삼키면서도 대책을 마련하게 됩니다.
가장 먼저 내놓은 대책은 대회가 있는 시즌은 물론이고 평상시에도 훈련량을 20% 높이기로 한 방법입니다.
장비가 나쁘니 훈련을 많이 해 실력으로 앞지르자는 쌍팔년도식 대책에 선수들만 죽어 나가는 꼴이었습니다.
불리한 상황을 밑도 끝도 없이 노력으로 이겨보자는 결정으로 인해 선수들과 코치진의 불만도 상당했습니다.
상황이 점점 나쁘게 변하자 양궁협회에서는 지도자 회의를 거쳐 선수들의 활을 국산화하기로 결정합니다.
그리고 이어서 국내대회에서는 무조건 국산 활만 사용하라는 특단의 조치도 내리게 되었습니다.
우선 초·중·고등학교 시합에서 국산 활로만 경기를 치르게 했습니다. 문제는 당시 국내에서 경기용 전문 활을 만드는 회사가 없다는 것이었는데요.
협회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장난감 활만 만드는 영세한 회사 세 군데만 있다는 것이 전부였습니다.
국산 활만 사용하라는 협회의 지시에 선수들과 학부보들은 난리가 났습니다. 학부모들의 원성이 터져 나왔지만 한번 정해진 결정은 번복되지 않았습니다.
양궁협회는 장난감 활만을 만들던 업체 3곳을 상대로 선수 전문용 활을 만들도록 설득을 하게 됩니다.
기나긴 설득 끝에 장난감 회사 3개 중 2개 회사가 투자를 시작했는데, IMF가 닥치게 됩니다.
환율이 2,000원을 넘어설 정도로 폭등을 하게 되자 외제 활을 구하는 것 자체가 거의 불가능해진 것입니다.
그런데 외제 장비를 구하지 못하는 것이 오히려 국산 전문 활을 개발하는 시간을 벌어주는데 결정적인 이바지를 하게 됩니다.
4년 후인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남녀 선수단 전원이 순 한국산 활만을 가지고 나갔습니다.
그리고 결과는 금 4개 중 무려 3개를 획득하는 엄청난 쾌거를 올렸습니다.
그 후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때부터는 해외 선수들에게도 점차 보급되더니, 2007년 독일 세계 양궁선수권 대회와 베이징올림픽에서는 최종 10명 중 무려 9명이 한국산 활을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2011년에는 국산 활이 세계시장 67%까지 석권했으며, 한때 세계 1~2위를 다퉜던 일본 업체들은 문을 닫고 말았습니다.
이 모든 일이 불과 10여 년 만에 벌어진 일이었으며, 양궁협회의 똥고집이 옳았다는 것을 전 세계에 증명해 보인 순간이었습니다.
2015년에는 두 군데의 국산 활 제조업체 중 한 곳이었던 삼익스포츠가 안타깝게도 파산하고 맙니다.
이 모든 사태의 원인을 제공했던 세계 1위 업체인 미국의 호이트가 베이징 올림픽 이후 각국 선수들에게 포상금을 내걸고 물량 공세에 나서면서 흔들리기 시작했습니다.
판매율은 점점 하락하는 가운데 개당 20억 원에 이를 정도의 선수용 양궁의 개발비용도 회사 규모가 작아 감당하기 힘들었습니다.
또한 소재 대부분을 수입해야 하는 특성상 2008년 세계 금융위기의 직격탄을 맞은 것도 파산의 한 가지 원인이었는데요.
주요 매출처였던 일본과의 거래도 2011년 대지진 이후 급격히 줄면서 결국 법정관리 수순을 밟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반면 삼익스포츠와 함께 국산 활을 제조한 윈앤윈은 견실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