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익명 > 개나무숲
개나무숲
19 Comments
s3tNRVMd 2021.05.13 11:01  
애가 6학년인데. 머리가 어지럽고 속이 울렁거린다는데요. 머리도 좀 빠지구요.
소아과가서 피검사 했는데 완전 정상 나왔습니다.
아무래도 애엄마가 보내는 학원 수학하고 인문학이 스트래스 받는거 같은데요.
정신과 상담좀 받을라는데 용인쪽에 추천할만한곳 있나요?

럭키포인트 28,547 개이득

vzFi4QZD 2021.05.13 11:05  
[@s3tNRVMd] 소아과에서 진행하는 혈액검사 항목은 제한점이 많습니다.
간단히 봐도 두통 및 울렁거림에 영향이 있는 뇌질환을 감별하는데도 큰 도움이 안되고요...

해당 공부 과목, 등원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있다면 본인에게 물어 확인 가능하며, 맞다면 정신과 상담이 아닌 학원을 끊는게 맞습니다.
진료봐도 같은 말을 할 거고요

지속되는 두통과 어지러움은 스트레스 증상이기도 하지만 기질적 증상인 경우가 많아 이비인후과나 신경과를 방문하여 검사하는게 맞는 순서라고 봅니다. 특정 병원을 추천할 수 없으나 정신과를 방문하신다면 서울권 이름 있는 종합병원급 이상으로 그냥 방문하셔도 큰 차이는 없고, 시간이나 절차 상 어려움이 있다면 동네 정신과 전문병원을 방문하시는게 오히려 큰 병원보다 나을 수 있습니다

럭키포인트 28,209 개이득

s3tNRVMd 2021.05.13 11:12  
[@vzFi4QZD] 감사합니다. 신경과 먼저 가봐야겟네요.
LtIS7lOy 2021.05.13 11:18  
귀는 멀쩡한데 가끔 매미소리가 들려요 상담 받아보는게 좋을까요

럭키포인트 25,475 개이득

vzFi4QZD 2021.05.13 11:20  
[@LtIS7lOy] 이명을 말씀하시는건가요?

귀의 전도성 문제인지 or 전정기관의 염증 등 문제인지  or 정신과적 환청에 해당하는지 감별이 필요합니다.

고주파처럼 띵하는 소리가 지속된다면 1차적으론 상급 병원에서 이비인후과적 정밀검사가 먼저입니다.
심리적으로 힘들거나 자극 받을 때 증상이 악화된다면 정신과적 혹은 신경과적 증상으로 유추할 수 있으므로, 그 때부터는 신경과 혹은 정신과 방문 후 검사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LtIS7lOy 2021.05.13 11:25  
[@vzFi4QZD] 이명처럼 띵하는소리가 아니라 진짜 매미가 우는 소리가 들려서요 검사받아보는게 좋겠네요 ㅠ
vzFi4QZD 2021.05.13 11:26  
[@LtIS7lOy] 신경과나 정신과 진료 권고드립니다.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소리가 아닙니다
LtIS7lOy 2021.05.13 11:27  
[@vzFi4QZD] 답변 감사합니다
TWnFBohl 2021.05.13 11:37  
독일 정신과 교수가 그러던데 정신세계를 탐구하는 것 자체가 정신병이라며 정신병에 관해 어떤 의견이신지?

럭키포인트 20,747 개이득

vzFi4QZD 2021.05.13 11:46  
[@TWnFBohl] 적어도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 체계에 따른 발병 기전을 밝혀낸 이상 뜬구름의 영역을 벗어났다고 봅니다

정신병은 다제적 원인에서 기인한 신체의 항상성 붕괴 상태라고 생각합니다. 더 연구되고 탐구되어야합니다
O2YIWQR5 2021.05.13 11:54  
어제 목아프다고 한 개붕이 입니다.
오늘 신경외과 가려고 반차 썼습니다 오른쪽 목 너무 아프고 어깨까지
너무 아픕니다 ㅜㅜ 뭐라고 설명을 해야 잘 할 수 있을까요 ㅜ

럭키포인트 4,031 개이득

vzFi4QZD 2021.05.13 11:58  
[@O2YIWQR5] 통증 오는 영역(진료 시 손으로 범위를 보여주세요)
통증이 심해지는 자세나 동작
통증의 느낌 (욱씬거리는 정도인지 전기가 오르듯 찌릿하고 날카로운 느낌인지)
언제부터 통증 인지했는지
지금까지 썻던 방법 (찜질, 스트레칭 등)
평소 업무 환경이나 운동습관 등

정리해서 적어가세요
진료보면서 하나씩 말씀하시거나 의사가 놓치지 않게 종이를 보여주셔도 됩니다
PCTdYH58 2021.05.13 11:57  
여태까지 이런적이없는디
 술마시면 극도로 우울해집니다.
탈모약이나 스트레스? 영향있을까요

럭키포인트 22,401 개이득

vzFi4QZD 2021.05.13 12:01  
[@PCTdYH58] 어떤 제제를 먹는지 모르겠지만 일부 약에서 우울 유발 효과가 있다고 연구되어 있으나 유의미하지 않습니다.

애초에 술과 같은 신경안정 성분은 술이 깨는 과정에서 정상 GABA 작용의 역반응을 유발할 수 있어 우울을 불러올 수도 있습니다
스트레스에 의한 우울 원인이 있다면야 음주로 인해 우울감이 발현될 수 있습니다.
PCTdYH58 2021.05.13 12:45  
[@PCTdYH58] 감사합니다!
luo0CWo2 2021.05.13 12:22  
우울증이랑 생리기간 겹치면
좋은영향이랑 나쁜영향이 잇을까요??

럭키포인트 4,266 개이득

vzFi4QZD 2021.05.13 12:24  
[@luo0CWo2] 아무래도 생리 전후로 호르몬의 농도가 급격히 변하니 우울증이 심화되는 쪽으로 증상이 심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I6TNdNzT 2021.05.13 13:04  
시바

럭키포인트 10,074 개이득

fRvQYXsx 2021.05.13 14:15  
귀신이 있다고 생각하심니까?

럭키포인트 10,263 개이득

오늘의 인기글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