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익명 > 개나무숲
개나무숲
26 Comments
adbDP8jp 2021.08.23 10:07  
청웅 사타부언

럭키포인트 721 개이득

NKN0m4GX 2021.08.23 10:10  
[@adbDP8jp] 제가 뭘 하면되죠?

럭키포인트 21,992 개이득

zORGHIVz 2021.08.23 10:08  
그냥 궁금해서..

1. 타인에 대한 열등감이나 자존감 낮은상태도 병이라고 할 수 있나요?
2. 아니라면, 그 상태가 지속되면 정신병이 될 수 있나요?
3. 정신과를 가면 도움을 받을 수 있나요?

럭키포인트 28,761 개이득

SEo3qmtz 2021.08.23 10:11  
[@zORGHIVz] 1. 열등감이나 자존감 저하로 일상생활의 영향을 끼치거나 사회적 관계 형성에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상황이라 판단되면
 판단 항목 부합 여부로 질환으로 진단할 수 있음. 그러기 전까지는 일종의 사고방식의 차이 or 증상으로 봄

2. 그러한 사고나 증상발현 후 방치 혹은 심화되는 과정이 지속되면 만성화 되면서 질병화된다고 보면 댐

3. 호르몬 불균형, PTSD, 유전성, 살아온 일생의 특이점 등 교정 받을 수 있는 영역이 원인에 해당되면 치료 효과는 좋은 편

럭키포인트 6,326 개이득

nHBoFkdc 2021.08.23 11:56  
아는 사람이 다이어트약을 정신과에서 받아왔다는데 진ㅉ ㅏ먹어도 되는건가요 약목록보니까 우울증약이던데
진짜 처방해주는건가요 정신과에서??

럭키포인트 4,603 개이득

SEo3qmtz 2021.08.23 11:58  
[@nHBoFkdc] 과체중의 원인을 정신과적 문제로 보았거나, 체중감량을 위한 전략에 사용되는 약제가 정신과 관련 기전인 경우 그렇습니다.

아마 세로토닌 조절 혹은 교감신경자극제 등 대사와 활동량 증진을 위해 처방했다면 오히려 내과보다 안전하게 처방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nHBoFkdc 2021.08.23 12:00  
[@SEo3qmtz] 감사합니다 걱정이 많이 돼서요 ㅜ
SEo3qmtz 2021.08.23 12:01  
[@nHBoFkdc] 오히려 내과에서 그냥 체중감량 목표로 싹센다같은 다이어트 비급여 약제 처방 받은거보다 훨씬 안전하게 걱정 ㄴㄴ ㅎㅎ
w0vqBv6R 2021.08.23 11:57  
병원가서 adhd 진단받으려면 첨에 모라고해야댐?

럭키포인트 20,213 개이득

SEo3qmtz 2021.08.23 11:59  
[@w0vqBv6R] 일상생활에서 진득하게 뭐 하나를 집중 못하고 산만하다, 몰입이 어렵다, 너무 다양한 주제에 관심이 가서 제대로 뭐 하나 하는게 없다

등 집중과 몰입에 대한 결핍을 호소하시면 뇌파, 호르몬 검사 및 약물 사용으로 배제 진단을 합니다
w0vqBv6R 2021.08.23 12:06  
[@SEo3qmtz] 건강보험대나용?
w0vqBv6R 2021.08.23 12:07  
[@w0vqBv6R] 아되나보네 동네병원가도 되나용?
SEo3qmtz 2021.08.23 12:08  
[@w0vqBv6R] 동네병원 간다면 정신과전문병원 ㄱㄱ
w0vqBv6R 2021.08.23 13:17  
[@SEo3qmtz] 3차병원으로 첨부터 가도대용?
SEo3qmtz 2021.08.23 13:19  
[@SEo3qmtz] 진료의뢰서 없으면 비급여 진찰봐야하는데 그럼 폭탄 맞을 가능성 높음
SEo3qmtz 2021.08.23 12:08  
[@w0vqBv6R] 진단 위해 하는 검사들은 건강보험 적용
확진 전 의심 상태에서 약물 효과로 집중력 개선되는 지 시험하는 기간 약제비는 비급여(약 2주)
검사 및 확진 후 주치의가 ADHD 확진 관련 소견서 작성 시 약제도 건강보험 적용
oLlY5WjK 2021.08.23 12:20  
친구가 편집증있다고 말해줬는데 이거 위험한거임? 거리를 둬야하나 고민중 착한친구긴한데

럭키포인트 9,796 개이득

SEo3qmtz 2021.08.23 12:22  
[@oLlY5WjK] 쉽게 말하면 쉽게 의심하고, 주변이 자기한테 피해주거나 줄거라고 착각하는 타입인거야

좋고 착한 친구라면 이겨낼 수 있게 같이 있는게 좋지만, 그 의심의 대상이 본인이 되고 그래서 역으로 피해를 본다면 본인 보호 목적에서 거리 두는게 나을수있음
oLlY5WjK 2021.08.23 12:32  
[@SEo3qmtz] 와 어제얘기해준거랑 같이 생각해보니까 ㅈㄴ소름돋네 얘가 당한게 아니라 혼자망상중인 가능성이 높을수있네 어제자기가 직장에서 당하고사는거 얘기해줬는데 얘기들으면서 뭔가 이상했거든 회사에 다 사이코뿐인가 하고
SEo3qmtz 2021.08.23 12:34  
[@oLlY5WjK] 보통 편집증은 심화되면 피해망상으로 넘어가는 양상을 보여서 교정 받는게 좋긴함

가장 많은 유형이 직장이나 친구관계에서 자길 헐뜯는다고 생각하는건데 가능성이 높음...
oLlY5WjK 2021.08.23 12:33  
[@SEo3qmtz] 어떻하면 치료할수있음?
SEo3qmtz 2021.08.23 12:36  
[@oLlY5WjK] 가장 좋은 건 그 친구 사회환경에 아주 밀접한 사람이 현실성을 계속 줘야함

남들이 피해주려는게 아니라 객관적인 모습을 옆에서 들려주거나 녹화해서 보여주고, 그 친구가 오해하거나 의심하는 게 비합리적이라는 평가를 해줘야함

이런 사회적 인지 행동 교정이 어려우면, 항우울제나 조현병치료제로 조정해볼 수 있음
tovaYC9v 2021.08.23 12:48  
현제 이별을 한상태입니다. 붙잡고있는데 될지 안될지 모르구요. 안될 확룰이 크겠죠.
가슴이 불안하고 집중이 안되고 우울합니다
계속 여자친구가 생각나고요
이런 이유로도 상담을 받을수 있을까요??

럭키포인트 20,091 개이득

SEo3qmtz 2021.08.23 12:49  
[@tovaYC9v] 상담 받을 순 있지만, 일시적인 심정변화에 의한 정신증 증상은 중등도가 아니면 약이나 심리치료의 필요성이 없습니다
tovaYC9v 2021.08.23 12:51  
[@SEo3qmtz] 그저 시간이 약인거겠죠??
그 시간이 길게 느껴져서 그렇지
SEo3qmtz 2021.08.23 12:53  
[@tovaYC9v] 대게 상실에 의한 일시적인 정신과적 증상은 3개월 내로 보고 있습니다.

이후에도 같은 이유로 일상에 지장이 오는 불안, 우울 등이 지속된다면 PTSD에 준하여 치료할 수 있으나, 지금은 아닐 듯 합니다
오늘의 인기글
제목